728x90

핵의학 28

11 뇌종양

1. 서론 ▶ 현재, 뇌종양의 진단에서 MRI가 가장 중요한 기본적 검사로 사용되고 있다. MRI는 종양의 크기와 위치, 2차적으로 생기는 압박 효과, 부종, 출혈, 괴사 등의 진단이 가능하다. 특히, 조영증강 MRI의 경우, 고등급 뇌종양에서 혈뇌장벽의 파괴로 인한 조영증강을 보이기 때문에 비종양성 질환과의 감별이나 종양 유형의 판별에 기본이 된다. 하지만, 혈뇌장벽의 파괴만으로는 저등급/고등급 종양의 구분에 제한이 있으며, 조영증강이 일어나지 않는 신경아교종의 1/3은 악성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방사선 치료와 연관된 괴사는 MRI에서 조영증강 영역의 일시적인 증가로 관찰될 수 있고, 이는 종양의 재발 및 악화로 오인될 수 있으므로, MRI를 이용한 뇌종양 평가에 제한점이 있다. ▶ 이러한 점에서,..

10 핵의학 진단 개론 - 1. 핵의학 영상법 개론

1. 핵의학 영상법 개론 1)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PET) (2) [18F]FDG PET ① 기본원리 가. 종양 ▶ 암세포에서 포도당 섭취에 관여하는 인자들은 다음과 같다. (가) 포도당 운반체(Glucose Transporter, GLUT) : GLUT라는 특별한 운반체에 의해서 포도당은 세포내로 들어간다. 여러 동종유형(isoform) 중 GLUT-1이 암세포에서 증가하여 있다. 뇌종양, 두경부암, 식도암, 위암, 폐암, 유방암, 대장암, 췌장암, 자궁암 등에서 GLUT-1의 발현이 증가된다. 폐암, 위암, 난소암 등 몇 가지 암세포의 일부에서 GLUT-3이 증가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이 운반체의 농도 증가는 모든 암세포의 공통적인 특징은 아니어서 림프종, 뇌암, 갑상선암, 흑색종, 간암에서 ..

09 임상 진단 기준 및 핵의학 통계 - 1. 임상 진단 기준, 2. 핵의학의 통계

1. 임상 진단 기준 2) 환자의 수집 및 검사유무 지정(Patient Recruitment and Assignmment) ▶ 어떤 검사법을 평가하는 연구를 설계할 때에는 이 검사로 환자의 질병상태에 대한 정보나 최종 건강결과가 달라질 때 이를 감지해 내기 위해 필요한 환자 수를 계산해야 한다. 이를 계산하려면 "통계적 유의성(statistical significant; α, p-value)"이나 "검정력(statistical power; 1-β)"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 일반적으로 관찰된 차이가 우연히 발생한 확률이 1/20 이하(p1/(0.05)^2 = 400이 되므로 400 이상의 계수를 얻어야 한다. (배후 방사능 계수가 총계수의 1% 이상이 되면 위의 식이 성립하지 않는다) 1..

08 분자영상 - 1. 분자영상 개론, 3. 분자영상의 실제

1. 분자영상 개론 1) 분자영상이란 ▶ 분자영상은 형태학적 변화에 관심을 갖는 지금까지의 의료 영상과는 달리, 분자 수준의 생명현상 정보를 생체 내에서 반복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진단과 치료에 일대 혁신을 일으키고 있다. 다시 말해서, 분자영상은 현미경으로 세포의 생물학적 변화를 관찰하듯 살아 있는 몸 안에서 일어나는 생화학적 반응을 영상화 및 정량화하고 평가하는 새로운 분야로 정의된다. 2) 분자영상의 구성요소 ▶ 분자영상의 주요 구성요소는 관심 분자를 선택적으로 표적하는 추적자와 그 위치를 정확히 검출하는 영상장비이다. ▶ 방사성추적자는 극미량만 투여하여 생물학적 영향이 없고 검출 예민도가 높으며, 방사선의 투과력이 광학영상에 비해 높아 크기가 큰 동물이나 사람에 적용할 수 있다. 단점으로..

07 방사선 생물학 - 2. 방사선 선량평가

2. 방사선 선량평가 1) 방사선량(Radiation Quantities) (2) 커마(Kerma, K) ▶ 커마 K는 비하전입자에 의해 물질 내 질량 dm에 생성된 모든 하전입자 운동에너지의 합 dEtr을 dm으로 나눈 몫으로서 다음과 같다. SI 단위는 Jkg^-1이지만 그레이(Gy)가 주로 사용된다. (3) 조사선량(Exposure Dose, R) ▶ 공기 중으로 에너지를 전달하여 전하를 생성시키는 양으로 정의된다. 단위로는 렌트겐(R)을 사용하며 1 R은 엑스선 또는 감마선에 의해 공기 1 kg당 2.58 x 10^-4 C(쿨롱)의 전하를 생성하는 방사선의 양이다. (4) 흡수선량(Absorbed Dose, D) ▶ 방사선 생물학, 핵의학, 방사선종양학 및 방사선안전관리 분야에서 흡수선량 D는 기..

07 방사선 생물학 - 1. 방사선 생물학 1) 방사선 흡수의 물리와 화학

1. 방사선 생물학 1) 방사선 흡수의 물리와 화학 (1) 전리방사선(ionizing radiation)의 정의와 종류 ▶ 전자기방사선 중 저에너지 감마선과 엑스선은 주로 진단에 이용되고, 입자방사선들 중 베타선, 알파선, 전자선, 양성자선, 중성자선, 중하전입자선 등은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2) 전자기방사선의 흡수 ▶ 전자기방사선과 흡수매질의 상호작용 중 하나인 광전흡수는 입사되는 전자기방사선의 모든 에너지를 흡수매질 원자에게 주어 궤도전자를 방출케 하는 것으로 발생확률(τ)은 에 따른다. 즉 흡수매질의 원자번호(Z)가 커지면 증가하고 입사되는 전자기방사선의 에너지(Er)가 커지면 감소한다. ▶ 방사선 진단에서는 광전흡수가 주가 되는 에너지 영역의 전자기방사선이 사용되며 연부조직에 비해 원자번호가 ..

카테고리 없음 2020.10.13

06 방사성의약품 생산 및 품질관리 - 4. 방사성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

4. 방사성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 1) 정의 ▶ GMP란 Good Manufacturing Practice의 약어로, 의약품의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을 의미한다. 2) 목적 ▶ 방사성의약품 GMP를 하는 목적은 방사성의약품에 관한 국제화된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을 마련하여 1. 인위적 과오의 최소화, 2. 오염 및 품질저하 방지, 3. 고도의 품질보증체계를 확립하는 것이다. 이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시설 및 환경 관리, 조직, 기준서, 문서, 밸리데이션, 품질관리, 일탈관리, 자율점검, 교육 및 훈련에 대해 관련사항을 숙지하고 수행해야 한다. 4) 방사성의약품 GMP 일반사항 (2) 방사성의약품은 사용(유효)기간이 짧기 때문에 품질관리시험을 완전히 마치기 전에 출하될 수 있다. 이런 경우, ..

06 방사성의약품 생산 및 품질관리 - 3. 조제 방사성의약품의 품질관리

3. 조제 방사성의약품의 품질관리 1) 99mTc 표지 방사성의약품의 정도 관리 99mTc 표지 방사성의약품의 정도관리는 제조된 방사성의약품의 물리화학적 순도인 방사핵종 순도, 화학적 순도, 방사화학적 순도 등과 생물학적 순도인 무균시험, 발열성물질 등을 검사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1) 방사성핵종 순도 ▶ 방사성의약품 속에 원하는 핵종으로 존재하는 방사능의 총 방사능에 대한 백분율 99mTc인 경우 예를 들어서 100 mCi의 과테크네슘산의 용액이 99.5 mCi의 99mTc과 0.5 mCi의 99Mo를 함유하고 있을 때 99mTc의 방사핵종 순도는 99.5%라고 할 수 있다. ▶ 99mTc-발생기의 정도관리에는 방사능 교정(radioactivity calibration), 화학순도시험(chemical..

05 방사약학 - 5. 기타 핵종 표지 방사성의약품

5. 기타 핵종 표지 방사성의약품 1) 방사성요오드 표지 방사성의약품 ▶ 핵의학에서 사용되는 방사성 요오드로는 131I, 125I, 그리고 123I 등이 있다. ▶ 131I 131I은 반감기가 8.0일이고, 베타붕괴를 하며 동시에 감마선을 방출한다. 131I의 감마선의 에너지는 364 keV와 637 keV로 조직 투과를 잘한다. 그러나 고에너지의 조준기(collimator)가 필요하고 차폐가 어려우며 608 keV의 베타선을 방출하여 흡수선량이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현재 많이 쓰이고 있는 방사성동위원소인 99mTc에 비해 훨씬 긴 반감기를 가지고 있어서 흡수선량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갑상선종의 치료에 뛰어난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각종 방사의약품의 제조에 많이 쓰이고 있다...

05 방사약학 - 4. 양전자방출핵종 표지 방사성의약품

4. 양전자방출핵종 표지 방사성의약품 ▶ 양전자방출핵종 표지 방사성의약품의 초기 연구는 주로 사이클로트론에서 생산된 방사성동위원소인 11C으로 표지된 화합물로 이루어졌으며 1978년 [18F]FDG의 합성이 처음 보고됨에 따라 18F으로 표지된 화합물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최근에는 68Ge-68Ga 발생기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양전자 방출 핵종인 68Ga이 상용화되어 여러 가지 펩타이드에 표지하고 있는 영상을 얻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1) 양전자방출핵종의 종류 및 특성 ▶ 수많은 양전자 방출 핵종 중에 체내 사용에 적당한 성질을 가진 핵종 - 사이클로트론 생산 : 11C, 13N, 15O, 18F, 64Cu, 76Br, 94mTc, 124I - 발생기 생산 : 68Ga, 8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