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방사성동위원소취급자특수면허 30

19 퇴행성 뇌질환 : 치매와 신경퇴행성 운동질환 - 2. 파킨슨병 및 이상운동질환

2. 파킨슨병 및 이상운동질환 ▶ 도파민은 신체운동과 관련된 추체외로의 중요 신경전달물질로서, 여러 퇴행성 이상운동질환에서는 도파민 신경계의 퇴행과 이로 인한 도파민 결핍에 의하여 저운동성 운동장애가 나타나고, 선조체와 연결된 운동기능 관련 도파민 신경회로의 연결에 손상이 생긴 경우에도 이상운동을 나타낸다. 도파민에 의한 시냅스에서의 신경전달은 도파민의 합성, 저장, 분비와 재흡수 등의 여러 단계에서 조절을 받는다. 파킨슨병과 같이 흑질선조체로(nigrostriatal pathway)의 도파민 신경세포에 변성이 일어나는 여러 퇴행성 운동장애는 시냅스 말단에서 도파민의 생산과 대사에 관여하는 도파탈탄산효소, 타이로신수산화효소 등의 합성 효소, 저장소포, 도파민 대사물질 및 도파민운반체와 같은 생화학적 마커..

19 퇴행성 뇌질환 : 치매와 신경퇴행성 운동질환 - 1. 알츠하이머병 및 기타 퇴행성 치매

1. 알츠하이머병 및 기타 퇴행성 치매 ▶ 알츠하이머병의 확진은 부검으로 특징적인 병리학적 소견을 확인함으로써 가능하지만, 실제 임상에서 치매 환자를 진단하는 경우에는 특징적인 임상양상을 관찰하고 치매를 일으키는 다른 질환들을 배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제 진단은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안고 있기 마련이며 특히 진단 자체에만 엄청난 의료비가 소요될 수 있다. 특히 인지기능의 이상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질병의 초기에는 기존의 임상진단 기준들을 이용한 진단 및 감별진단의 정확도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뇌기능 영상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국소대사/혈류분포 양상과 알츠하이머병의 병리를 보여줄 수 있는 아밀로이드 및 타우병리 영상은 알츠하이머병 진단에 매우 가치가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1) 치매 환자의..

18 혈액암

1. 림프종 1) 서론 ▶ 림프종은 혈액세포의 하나인 림프구가 악성으로 전환되어 과다증식하여 생기는 종양을 말한다. 호지킨림프종(HL)과 비호지킨림프종(NHL)으로 나눌 수 있다. 2016년 개정된 WHO 분류법은 NHL을 세포 계열에 따라서 크게 B세포 기원과 T세포 및 NK 세포 기원 신생물로 나누며, 90개가 넘는 아형으로 분류한다. ▶ 림프종은 세부 분류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다양하다. - DLBCL과 HL은 완치를 목표로 항암치료, 면역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등을 시행한다. - FL은 등급에 따라서 주의 깊게 관찰할 수도 있고, 방사선치료나 면역화학요법을 시행한다. 2) 진단 ▶ 림프종의 FDG 섭취는 스펙트럼이 폭넓게 나타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공격성이 높은 림프종은 FDG 섭취가 높다. 같은 ..

제3장 방사선장해방어 - 1. 방사선의 종류와 단위

1. 다음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방사선 방호제로 사용되는 Cysteine은 인체내 발생한 수화전자를 주로 제거한다. B. 예탁선량을 당해연도의 선량으로 간주하는 것은 연속된 행위의 경우에는 정당하다. G. 의료상피폭에 대한 방호체계에서 개개의 의료 행위에 대한 선량제약치를 적용하여 부당한 피폭을 억제하여야 한다. M. 유효반감기는 물리·생물학적 반감기에 의해 결졍되며 이 중 반감기가 짧은 반감기에 비해서도 짧은 특징이 있다. A. 방사선 방호제로 사용되는 Cysteine은 인체내 발생한 OH기를 제거하여 H2O2의 발생을 방지한다.

17 비뇨생식기암 - 비뇨기계 암, 부인암

비뇨기계 암 1. 배경 ▶ 비뇨기계 암에서 PET의 역할에 대하여 FDG PET과 FDG 외의 추적자를 이용한 PET으로 나누어 살펴보도록 하겠다. 2. 전립선암 1) FDG PET ▶ 전립선암은 대표적으로 FDG PET의 진단 성능에 한계가 있는 암이다. - 첫째, FDG의 비뇨기계 배설로 인한 배경의 강한 섭취가 있다. - 둘째, 전립선암은 느린 생장 속도와 낮은 당대사로 인하여 다른 암종에 비하여 낮은 원발 병소 FDG 섭취를 보인다. (1) 진단 및 병기 설정 ▶ 전립선암은 높은 FDG 섭취를 보이는 다른 암종과는 달리 대부분 정상 전립선 조직과 비슷한 정도의 섭취를 보이므로 양성 전립선비대증과 전립선암을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전립선 내 국한된 병소의 평가에 대한 FDG PET..

16 복부암

1. 위암 2) 진단 및 병기설정 ▶ 국소 림프절 전이의 평가에서 FDG PET 혹은 PET/CT 영상은 CT에 비해 낮은 민감도와 높은 특이도를 보이는데 민감도가 낮은 이유 중 하나는 공간 해상도가 낮아 원발암 근처의 위 주변 림프절(perigastric lymph node)을 구분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2. 대장암 1) 배경 ▶ FDG PET/CT에서 장관의 미만성 혹은 국소성 FDG 섭취는 대장 직장암의 발견을 종종 어렵게 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장관의 미만성 FDG 섭취는 정상범주로 생각하나 염증이나 metformin과 같은 약물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 - 국소성 섭취도 생리적으로 보일 수 있으며 장내로 FDG가 분비되어 국소병변으로 오인할 수 있다. 분비된 방사능이라 의심할 때에는..

15 유방암

3. 유방암에서 사용되는 핵의학 영상 1) Sentinel lymph node (SLN) lymphoscintigraphy ▶ 액와림프절 전이 여부는 유방암에서 가장 중요한 예후인자이다. 액와림프절절개술은 림프부종이나 혈청종 등의 합병증이 생기므로, 최근에는 덜 침습적인 방법인 전초림프절 생검법(sentinel lymph node biopsy)이 사용되고 있다. 전초림프절은 원발 유방종양으로부터 림프관 유입을 받는 첫 번째 림프절로, 전이가 일어날 경우 가장 먼저 침범받는 림프절이다. 이 첫 번째 림프절에서 조직검사 결과 전이 소견이 나오지 않으면 액와림프절까지는 전이가 일어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유방암 환자에서 액와림프절절개술의 진행여부를 결정하는데 전초림프절 전이 여부 판단이 중요하다..

14 식도암

1. 진단 및 감별진단 ▶ 식도암의 진단 및 선별 검사로서 [18F]FDG PET의 역할은 명확하지 않다. 현재 식도암의 확진 방법으로는 내시경을 통한 조직 검사만 인정되고 있다. 2. 병기결정 및 예후 예측 1) 병기결정 ▶ T병기 결정에서 [18F]FDG PET의 역할은 제한적이다. ▶ PET의 환자별 림프절 전이를 발견하는 예민도는 45~80%, 특이도는 70~99% 정도로 CT의 예민도 30~50%보다 훨씬 우수하고, 특이도는 유사하다. CT의 림프절 전이 발견 성적이 나쁜 이유는 식도암에서는 크기가 정상인 림프절에서도 전이가 발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종격동 림프절보다 복부 림프절의 전이를 발견하는 성적이 떨어진다. 이는 식도암이 다른 암에 비하여 현미경적 림프절 전이를 잘 하며, 원발종양..

제1장 원자력이론 - 1. 원자핵 물리

4.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A. A가 같고 Z가 다른 핵종을 동중핵이라 한다. B. Z가 같고 A가 다른 핵종을 동위원소라 한다. G. Z가 같은 모든 핵종을 방사성동위원소라 한다. M. N이 같고 Z가 다른 핵종을 동중성자핵이라 한다. G. Z가 같은 모든 핵종을 방사성동위원소라 한다. 동위원소 : Z는 같으나 N은 다른 핵종 동중원소 : Z와 N은 같으나 A가 서로 같은 핵종 동중성자원소 : N은 같으나 A가 다른 핵종 핵이성체 : Z, N, A는 모두 서로 같으나, 에너지 상태가 다른 핵종 13. 다음 중 틀린 것은? A. 전자평형상태하의 주어진 공기 체적 내에서 감마선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이온쌍의 수는 조사선량에 비례한다. B. 선형에너지전이란 어떤 매질 내에서 하전입자가 단위거리당 ..

방사성동위원소취급자특수면허 시험 정보 (응시자격, 시험일정, 시험장소)

방사성동위원소취급자특수면허시험 응시자격 ▶ 방사성동위원소취급자특수면허의 응시자격은 "의사면허 소지자로서 실무 1년"입니다. ▶ 따라서 영상의학과, 핵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의 경우 실무 1년 조건을 충족하시게 됩니다. ▶ 일반의 선생님들의 경우 실무 1년에 준하는 교육을 받을 경우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는 것으로 압니다. 출처 : license.kins.re.kr/lice/LiceAction?act=KLIAA110R 방사성동위원소취급자특수면허시험 일정 ▶ 2020년도 방사성동위원소취급자특수면허시험은 9월 27일 일요일 시행되었습니다. ▶ 매년 9월의 마지막주 일요일이 필기시험일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따라서, 2021년도는 9월 26일 일요일이 필기시험일로 지정될 것 같습니다. 출처 : lic..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