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교시. 의학/핵의학 : 고창순 핵의학 제4판 53

07. 방사선 생물학 - 1. 방사선 생물학

1. 방사선 생물학1) 방사선 흡수의 물리와 화학방사선 생물학1) 방사선 흡수의 물리와 화학(2) 전자기방사선의 흡수전자기방사선과 흡수매질의 상호작용 중 하나인 광전흡수는 입사되는 전자기방사선의 모든 에너지를 흡수매질 원자에게 주어 궤도전자를 방출케 하는 것으로 발생확률(τ)은에 따른다. 즉 흡수매질의 원자번호가 커지면 증가하고 입사되는 전자기방사선의 에너지가 커지면 감소한다(그림 7-2).방사선 진단에서는 광전흡수가 주가 되는 에너지 영역의 전자기방사선이 사용되며 연부조직에 비해 원자번호가 큰 칼슘이 많은 뼈조직에서는 엑스선이 상당한 정도까지 흡수되고 두 조직 간의 흡수차를 이용하여 엑스선 사진을 만든다.방사선 치료에는 MeV 영역의 높은 에너지 전자기방사선을 주로 사용한다. 만약 광전흡수가 많이 발생..

06. 방사성의약품 생산 및 품질관리 - 3. 조제 방사성의약품의 품질관리

3. 조제 방사성의약품의 품질관리1) 99mTc 표지 방사성의약품의 정도 관리99mTc 표지 방사성의약품의 정도관리는 제조된 방사성의약품의 물리화학적 순도인 방사핵종순도, 화학적순도, 방사화학적 순도 등과 생물학적 순도인 무균시험, 발열성물질 등을 검사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1) 방사성핵종 순도방사성의약품 속에 원하는 핵종으로 존재하는 방사능의 총 방사능에 대한 백분율로서 99mTc인 경우 예를 들어서 100 mCi의 과테크네슘산의 용액이 99.5 mCi의 99mTc과 0.5 mCi의 99Mo를 함유하고 있을 때 99mTc의 방사핵종 순도는 99.5%라고 할 수 있다.99mTc-발생기의 정도관리에는 방사능 교정, 화학순도시험, 방사핵종 순도시험의 3가지가 필요하다.① 방사능 교정(radioacitvit..

05. 방사약학 - 5. 기타 핵종 표시 방사성의약품

5. 기타 핵종 표지 방사성의약품1) 방사성요오드 표지 방사성의약품핵의학에서 사용되는 방사성 요오드로는 131I, 125I, 그리고 123I 등이 있다. 131I은 반감기가 8.0일이고, 베타붕괴를 하며 동시에 감마선을 방출한다. 131I의 감마선의 에너지는 364 keV와 637 keV로 조직 투과를 잘한다. 그러나 고에너지의 조준기(collimator)가 필요하고 차폐가 어려우며 608 keV의 베타선을 방출하여 흡수선량이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현재 많이 쓰이고 있는 방사성동위원소인 99mTc에 비해 훨씬 긴 반감기를 가지고 있어서 흡수선량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갑상선종의 치료에 뛰어난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각정 방사성의약품의 제조에 많이 쓰이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

05. 방사약학 - 4. 양전자방출핵종 표지 방사성의약품

4. 양전자방출핵종 표지 방사성의약품양전자방출핵종 표지 방사성의약품의 초기 연구는 주로 사이클로트론에서 생산된 방사성동위원소인 11C으로 표지된 화합물로 이루어졌으며, 1978년 [18F] FDG의 합성이 처음 보고됨에 따라 18F으로 표지된 화합물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최근에는 68Ge-68Ga 발생기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양전자 방출 핵종인 68Ga이 상용화되어 여러 가지 펩타이드에 표지하고 영상을 얻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양전자방출핵종은 양성자 하나가 양전자를 방출하여 중성자 하나로 변하며 중성자/양성자 비율이 증가하여 더 안정한 원자로 변하게 된다. 이때 방출된 양전자는 가지고 있는 운동에너지를 모두 잃어갈 때쯤 주변의 전자를 만나 함께 소면(annihilation)하..

05. 방사약학 - 3. 99mTc 표지 방사성의약품

3. 99mTc 표지 방사성의약품핵의학에서 쓰이는 진단방사성의약품의 약 80%을 99mTc으로 표지된 방사성의약품이 차지하고 있다. 섬광카메라(scintillation camera)로 영상을 만들 때 사용되는 여러 방사성동위원소들 중 99mTc은 가장 이상적인 체내 영상용 방사성의약품의 조건을 충족하며, 다른 동위원소들에 비해 99mTc 발생기(99Mo-99mTc generator)로부터 값싸고 손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핵의학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사성동위원소이다.3) 99mTc 표지 방사성의약품(1) 신경계 99mTc 표지 방사성의약품① 뇌혈류영상용 99mTc 표지 방사성의약품SPECT 뇌혈류영상에 이용되고 있는 방사성의약품으로는 99mTc-PnAO, 99mTc-HMPAO(Ceretec™)..

05. 방사약학 - 2. 의학용 방사성동위원소의 생산

2. 의학용 방사성동위원소의 생산3) 발생기핵의학영상에서 좋은 해상력을 얻기 위해선느 비교적 많은 양의 방사성핵종이 필요하다. 반감기가 짧은 핵종을 사용하면 인체 내에 피폭되는 방사선 양을 적게 할 수 있으나 빨리 감쇠되어 없어지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경제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장치가 발생기이다. 발생기 장치를 이용하면 반감기가 짧은 방사성 핵종을 병원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다. (1) 방사평형의 개념99mTc은 반감기가 6시간이므로 오래 저장을 해둘 수가 없어서 사용이 불편하다. 그러나 발생기 시스템을 사용하면 훨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따. 발생기는 방사평형의 원리를 이용한다.이러한 방사평형을 이용하면 발생기를 제조할 수가 있다. 즉 실제 원하는 핵종은 반감기가 짧은 B..

05. 방사약학 - 1. 서론 1) 방사성의약품의 이용

1. 서론1) 방사성의약품의 이용방사성의약품은 진단용과 치료용으로 나눌 수 있다. 진단용은 대부분 체내에 투여하여 특정 장기에 섭취가 되면 그 부위에서 방출하는 방사선을 탐지하여 영상을 수성하여 질병을 진단하는데 사용하고, 치료용은 암이나 류마티스 관절염 등 특정 병소에 방사성의약품이 축적이 되면 그 부위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세포를 죽임으로써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다. 진단용 방사성의약품은 인체에 투여할 경우 조직에 대한 독성은 약하면서 인체를 잘 투과하여 외부에서 탐지할 수 있는 방사선을 방출하여야 한다. 이러한 방사선으로서 적당한 것은 감마선과 양전자선을 들 수가 있다.감마선은 에너지에 따라 투과력이 달라진다. 에너지가 높을수록 인체 투과력이 높아지므로 진단용으로 적당하지만, 너무 높으면 감마카메라 검..

04. 핵의학 영상기기 및 다중융합영상

핵의학 영상의 원리와 종류핵의학적 영상 진단은 특정 방사성동위원소나 이러한 방사성동위원소를 각종 생화학적 물질에 표지한 방사성추적자(radiotracer)를 체내에 주입해주고 방사성동위원소에서 방출되는 감마선의 위치 및 양적 정보를 영상화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이러한 핵의학 영상을 위하여 사용되는 감마선 방출 방사성동위원소는 크게 두 종류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 첫째는 불안정한 원자핵이 주로 알파붕괴나 베타붕괴 직후 들뜬 상태의 딸핵종이 붕괴하면서 원자핵으로부터 방출하는 하나의 광자(주로 감마선)를 검출하는 것이고, 또 다른 한 종류는 원자핵에서 방출된 양전자가 주변 자유전자를 만나 소멸되며 두 개의 감마선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방출하는 것이다. 가. 단일광자영상법첫 번째 종류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

02. 핵의학물리 및 방사선 검출기(브래그 피크(Bragg peak), 반측치(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그림 2-14는 알파입자가 매질 내를 이동할 때 이동 거리에 따른 단위거리당 잃는 에너지를 보여준다. 단위거리당 잃는 에너지는 입자가 매질 내 진입한 이후로 점점 커지는 양상을 보인다. 이렇게 점점 커지다가 어느 정도 깊이에 이르렀을 때 최댓값이 되는데, 이 최댓값이 되는 지점에서 알파입자의 에너지를 가장 많이 잃는다. 즉 알파입자가 매질 내로 들어왔을 때 그 속도가 크면 상대적으로 적은 충돌을 하여 단위거리당 잃는 에너지는 작지만 점차 속도가 줄어들면 단위거리당 잃는 에너지는 커진다. 이것이 매우 급속도로 상승하게 되면 알파입자는 어느 순간 모든 운동에너지를 잃고 멈추게 된다. 이를 브래그 피크(Bragg peak)라고 하는데, 이는 중입자를 이용한 방사선 치료에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알파입자나 양성..

01. 핵의학 개론

방사성 핵종을 이용한 치료법 중 혈액질환에 쓰이는 32P와 악성 삼출액 치료에 쓰이는 198Au의 이용은 감소하였으나, 갑상선암과 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에 쓰이는 131I의 이용은 갑상선초음파 검진에 따른 갑삼성암 진단의 급증에 따라 2004년 12,000건에서 2013년 30,000건으로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증상이 없는 일반인의 경우 갑상선암 초음파 검사를 권고하지 않는다'는 갑상선암 검진 권고안에 따라 2016년 12,000건으로 다시 줄었다. 그 외 갈색세포종 및 신경모세포종 치료에 131I-MIBG, 뼈전이 치료에 89Sr, 223Ra, 간암 치료에 방사선색전술, 림프종 치료에 방사면역치료법이 사용되고 있다. 단백질을 방사성동위원소로 표지할 수 있게 된 후 항체에 방사성동위원소를 표지하여 각종 병..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