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DDREF 4

방사선방호 관점에서 선량-선량률 효과계수(DDREF)를 도입하게 된 배경

방사선방호 관점에서 선량-선량률 효과계수(DDREF)를 도입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그 의미를 설명하시오. 방사선방호에서 문제가 되는 선량은 수 mGy에서 수십 mGy이고 피폭하는 기간도 매우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진다. 반면에 원폭 피해자 등의 역학데이터로부터 얻어진 선량은 0.1 Gy부터 0.2 Gy 이상이고 매우 짧은 기간에 받은 선량이다. 방사선방호에 문제가 되는 저선량에서의 선량-반응관계를 직접 얻을 수 없기 때문에 고선량 피폭자의 역학데이터로부터 얻은 암사망 발생확률을 가지고 외삽하여 추정할 수밖에 없다. 고선량-고선량률의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평가치로 저선량-저선량률에 대한 추정치를 도출하기 위하여 도입된 개념이 선량-선량률효과계수(DDREF)이고 ICRP에서는 2를 권고하고 있다. DDREF가..

카테고리 없음 2025.01.22

ICRP 103 제3장 방사선방호의 생물학적 측면 (결정론적 영향, 확률론적 영향, LNT모델, DDREF, 배가선량, 배태아, 사멸, 기형발생, 정신지체)

제3장방사선방호의 생물학적 측면 (55) 방사선피폭의 가장 부정적인 보건영향은 두 종류 일반적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높은 선량 피폭 후 주로 세포가 사멸하거나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발생하는 결정론적 영향(유해한 조직반응)체세포 돌연변이에 의한 피폭자에 암 발생 또는 생식세포 돌연변이에 의한 자손의 유전질환에 관련되는 확률론적 영향, 즉 암과 유전적 영향.배아나 태아(배태아)에 대한 영향 및 암외질환도 고려 대상이다. (57) 1990년 이후 ICRP는 방사선에 의한 생물학적 영향의 다양한 측면을 검토했다. ICRP가 개발한 관점이 이 장에 요약되어 있는데, 1회 선량이나 연간 누적선량으로 약 100 mSv까지의 유효선량(또는 낮은 LET 방사선으로 약 100 mGy의 흡수선량)에 집중하고 있다. 3..

07 방사선 생물학 - 1. 방사선 생물학 4) 방사선 피폭의 부정적 보건영향(adverse health effect of radiation e

1. 방사선 생물학 4) 방사선 피폭의 부정적 보건영향(adverse health effect of radiation exposure) 산업 및 의학에서 방사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방사선에 의한 장해를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시각에서 방사선이 인체에 주는 부정적인 보건영향을 크게 두 가지 범주인 결정론적 영향(deterministic effect)과 확률론적 영향(stochastic effect)으로 구분하고 있다. (1) 결정론적 영향(deterministic effect) 결정론적 영향은 방사선 피폭에 따른 특정 장기나 조직 세포들이 사멸하거나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선량문턱(dose threshold)을 넘어서 피폭되면 임상적으로 관찰 가능한 장기나 조직의 손상이 ..

선량선량률효과인자 (dose and dose-rate effectiveness factor, DDREF)

선량선량률효과인자 (dose and dose-rate effectiveness factor, DDREF) (70) UNSCEAR는 높은 선량 및 선량률에서 평가된 암 위험을 낮은 선량 및 선량률로 투사할 수 있도록 선량선량률효과인자(DDREF)를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낮은 선량 및 선량률에서 발생하는 암 위험은, 역학, 동물실험 및 세포 데이터를 조합해 판단할 때, DDREF로 제시되는 인자 값만큼 감소할 것으로 판단된다. ICRP는 1990년 권고에서 DDREF값 2를 방사선방호의 일반적 목적에 적용해야 한다고 포괄적 판단을 내린 바 있다. 선량선량률효과인자dose and dose-rate effectiveness factor, DDREF: 높은 선량률, 높은 선량 피폭의 경우와 비교하여 낮은 선량률..

카테고리 없음 2020.02.2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