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개인선량당량 3

개인선량당량 Hp(10)을 측정하여 유효선량치료 채택할 수 있는 이유

유효선량은 방호량으로 실제 측정할 수 있는 양이 아니다. 대신 개인선량계로 개인선량당량 Hp(10)을 측정하여 유효선량치료 채택한다. 이렇게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을 가정하기 때문인데, 그 가정이 무엇인지 기술하시오. 전신의 고른 피폭을 가정하면 개인선량당량을 측정하여 유효선량으로 볼 수 있다. 전신의 고른 피폭이 아닌 상황에서는 개인선량당량을 유효선량치로 채택할 수 없고 국부등가선량으로 채택하여야 한다.

카테고리 없음 2025.02.01

방사선방호량과 실용량

방사선방호에 사용하는 방사선량에는 방사선방호량과 실용량이 있다. 두 양의 차이를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양이 방사선방호량 또는 실용량인지 간단히 설명하시오. 인체의 방사선방호 목적으로 사용하는 양이 방사선방호량이고 등가선량과 유효선량 등이 있다. 이들 양은 실제로 측정 가능한 양은 아니다. 따라서 조직이나 장기의 유효선량 또는 평균 등가선량의 측정이나 감시에는 실용량을 사용한다. 실용량에는 외부피폭에 대한 지역감시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주위선량당량 H*(10) 및 방향성선량당량 H*(0.07)이 있고, 개인감시를 위한 실용량은 몸체 조직내 적정깊이 d에서 선량당량인 개인선량당량 Hp(d)이 있다.

카테고리 없음 2025.01.31

ICRP 103 제4장 방사선방호에 사용하는 양 (등가선량, 유효선량, 방사선가중치, 조직가중치)

제4장 방사선방호에 사용하는 양  4.1. 서론  (100) 방사선피폭으로부터 선량을 평가하기 위해 특별한 선량계측량이 개발되어 왔다. (101) ICRP 26(ICRP 1977)에서 방호량으로서 인체 장기와 조직의 선량당량dose equivalent과 유효선량당량effective dose equivalent이 도입되었다. 이 양들의 정의와 계산 방법이 ICRP 60(ICRP 1991b)에서 수정됨에 따라 등가선량equivalent dose과 유효선량effective dose이라는 양으로 되었다. (102) 등가선량과 유효선량은 인체 조직에서 직접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방호 체계는 측정 가능하며, 등가선량과 유효선량을 평가할 수 있는 실용량operational quantities을 포함한다.  (1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