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 290

"흡수선량", "등가선량", "집단선량" 방사선방호 등에 관한 기준

1. "흡수선량"이란 물질의 단위 질량당 흡수된 방사선의 에너지를 말한다. 흡수선량의 단위로 그레이가 사용되며, 1 Gy는 1 J/kg 이다. 2. "등가선량"이란 인체의 피폭선량을 나타낼 때 흡수선량에 해당 방사선의 방사선가중치를 곱한 양을 말한다. 등가선량의 단위로 시버트가 사용된다. 3. "집단선량"이란 다수의 사람이 피폭되는 경우에 그 집단의 개인피폭방사선량의 총합을 사람의 숫자로 나눈값을 말한다. 집단선량의 단위로 맨 시버트(man-Sv)가 사용된다. 4. "방사선안전관리통합정보망"이란 방사성동위원소등의 이용과 관련된 기관을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망을 말한다. 방사선방호 등에 관한 기준[시행 2019. 5. 10.] [원자력안전위원회고시 제2019-..

4교시. 법령 2025.02.06

원자력안전법 용어 정의 ("방사선", "방사선발생장치", "방사선관리구역", "피폭방사선량")

1. 방사선은 전자파 또는 입자선 중 직접 또는 간접으로 공기를 전리하는 능력을 가진 것으로서 5만 전자볼트 이상의 에너지를 가진 전자선을 포함한다.원자력안전법[시행 2024. 11. 1.] [법률 제19826호, 2023. 10. 31., 일부개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7. “방사선”이란 전자파 또는 입자선 중 직접 또는 간접으로 공기를 전리(電離)하는 능력을 가진 것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원자력안전법 시행령[시행 2025. 1. 24.] [대통령령 제35230호, 2025. 1. 23., 타법개정] 제6조(방사선) 법 제2조제7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란 다음 각 호의 것을 말한다.1. 알파선ㆍ중양자선ㆍ양자선ㆍ베타선 및 그 밖의 중하전..

4교시. 법령 2025.02.06

용어의 정의. 표면방사선량률 (원자력안전법 시행규칙)

원자력안전법 시행규칙 [시행 2024. 12. 24.] [총리령 제2000호, 2024. 12. 24., 타법개정] 제2조(정의) 이 규칙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1. “표면방사선량률”(表面放射線量率)이란 방사성물질, 방사성물질을 내장한 용기 또는 장치, 방사선발생장치 및 방사선차폐체(放射線遮蔽體) 등 방사선이 나오는 물체의 표면으로부터 10센티미터의 거리에서 측정한 방사선량률을 말한다.2. “핵분열성물질”이란 우라늄 233, 우라늄 235, 플루토늄 239, 플루토늄 241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말한다. 다만, 조사(照射)되지 아니한 천연우라늄 및 감손(減損)우라늄과 열중성자로에서 조사된 천연우라늄 및 감손우라늄은 제외한다.3. “개인선량계”란 사람의 신체 외부에 피폭되는 방사선..

4교시. 법령 2025.02.06

개인선량당량 Hp(10)을 측정하여 유효선량치료 채택할 수 있는 이유

유효선량은 방호량으로 실제 측정할 수 있는 양이 아니다. 대신 개인선량계로 개인선량당량 Hp(10)을 측정하여 유효선량치료 채택한다. 이렇게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을 가정하기 때문인데, 그 가정이 무엇인지 기술하시오. 전신의 고른 피폭을 가정하면 개인선량당량을 측정하여 유효선량으로 볼 수 있다. 전신의 고른 피폭이 아닌 상황에서는 개인선량당량을 유효선량치로 채택할 수 없고 국부등가선량으로 채택하여야 한다.

카테고리 없음 2025.02.01

유도공기중농도(DAC)가 도출되지 않는 핵종

유도공기중농도(DAC)는 연간섭취한도(ALI)와 작업자의 호흡률(1.2 ㎥/h)과 연간작업시간(2000 h)을 통해 도출되고 있다. 다음 중 위의 방법을 통해 유도공기중농도(DAC)가 도출되지 않는 핵종으로는 무엇이 있으며, 핵종들의 유도공기중농도(DAC)는 무엇을 근거로 도출되는지 설명하시오. 불활성기체(Kr, Xe 등)는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폐에서 인체로 잘 섭취(uptake)되지 않음(폐를 통해 인체로 유입되지 않음).이러한 핵종은 연간섭취한도(ALI)가 제시되지 않음.따라서, 오염된 공기중에 체류함으로서 외부피폭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가정으로 submersion(지표면 오염), immersion(공간내 공기오염)에 기인한 외부피폭 선량 또는 폐선량으로 유도공기중농도(DAC)를 유도함.

카테고리 없음 2025.02.01

분자작용모델 또는 선형-2차 모델

방사선작용의 분자학적 고찰은 DNA의 양 가닥이 함께 손상되는 두 가닥 절단(double strand break; DSB)이 복구가 어렵다는 관점에서 출발.DSB가 발생하는 과정은 하나의 방사선작용이 동시에 두 가닥을 손상시키는 경우와, 서로 다른 두 개의 방사선작용이 각각 한쪽 가닥만을 손상시키되 각각이 시간과 공간적으로 근접함으로써 발생하는 경우가 있음.선량값이 클 경우 생존율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현.영향이 선량의 제곱에 비례하는 항이 도출.선량이 클 경우 한쪽 DNA 사슬의 손상이 시간과 공간적으로 근접하여 양 가닥 손상과 같은 DSB 발현이 증가함.

카테고리 없음 2025.01.31

개인선량계 위치

납조끼를 착용하고 방사선작업을 수행할 때 개인선량계는 어느 위치에 패용하는 것이 옳은지 설명하시오. 아울러 이때 제기될 수 있는 선량학적 측면에 대해 기술하시오. 선량계는 실제 개인이 받은 심부선량을 대변하기 위함이므로 납조끼 안쪽 왼쪽 가슴부위에 착용하는 것이 옮음.감마선의 모든 에너지에 대해 심부선량(선량계의 판독선량)은 유효선량을 전체적으로 과대평가하고 있으므로 납조끼를 착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방사선으로부터 보호를 받지 않은 장기(갑상선, 뇌 등)의 선량이 심부선량의 선량에 비해 크기는 하지만 동 장기들의 조직가중치가 작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심부선량(납조끼 안쪽 선량계의 판독 선량)이 유효선량을 대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다만, 납조끼를 착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방사선으로부터 보호받지 않는 장기들..

카테고리 없음 2025.01.31

저LET방사선의 영향 발생률은 고LET방사선보다 동일한 선량에 의한 방사선영향 발생률이 낮다

위 그림은 선량과 방사선영향 발생률과의 관계를 간략히 표시한 그림이다. 다음을 설명하시오.1) 선에너지전달(linear energy transfer; LET) : 원래의 정의는 물질 내에서 잃는 하전입자 방사선의 평균 에너지 손실률, 즉 물질 내 방사선 경로의 단위길이당 방사선에너지 손실로 정의되고, 단위는 주로 keV/㎛로 쓴다. ICRP에서는 모든 전리방사선에 대하여 LET를 적용하면서 단위길이당 에너지 손실이 낮은 엑스선, 감마선, 베타선 등은 저LET방사선, 단위길이당 에너지 손실이 높은 중성자, 양성자, 알파선 등은 고LET방사선이라 부른다. (엑스선, 감마선, 중성자가 하전입자는 아니지만, 물질 내에서 전리를 일으켜 생성된 하전입자의 에너지 손실 관점에서 LET를 적용하는 것 같다) 2) 생물..

카테고리 없음 2025.01.3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