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215

방사성동위원소등 생산 등의 허가 시 인력기준 방사선취급감독자면허 소지자 또는 방사선관리기술사 1명 이상 방사성동위원소취급자일반면허 소지자, 방사선취급감독자면허 소지자 또는 방사선관리기술사 1명 이상 방사성동위원소취급자특수면허 소지자 1명 이상 및 방사성동위원소취급자일반면허 소지자, 방사선취급감독자면허 소지자 또는 방사선관리기술사 1명 이상 1. 생산 1. 생산 1. 생산(방사선발생장치 생산 허가를 받는 경우) 2. 판매 가. 방사성동위원소를 판매하는 경우 나. 방사선발생장치를 판매하는 경우 3. 사용 가. 인체에 사용하는 경우 가. 인체에 사용하는 경우 3. 사용 나. 인체 외에 사용하는 경우 나. 인체 외에 사용하는 경우 1) 밀봉된 방사성동위원소 가) 기기에 장비되지 않은 것으로서 연간 사용량 1.85테라베크렐 이상 다) 기기에 장비된 것으로서.. 2020. 6. 11.
누설점검의 시기 vs 선량 교정 및 평가주기 & 기록 비치 사항 방사선원의 누설점검에 관한 기술기준 [시행 2017. 12. 26.] [원자력안전위원회고시 제2017-45호, 2017. 12. 26., 일부개정] 제4조(누설점검의 시기) ① 방사선원에 대한 누설점검의 시기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방사선원을 신규로 인수하였을 경우에는 취득일로부터 30일 이내 2. 사용 중인 방사선원에 대해서는 매 1년 3. 최근 6개월 이내에 누설점검을 실시하지 아니하고 보관 또는 저장하고 있는 방사선원에 대해서는 사용을 재개하기 직전 ②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방사선원의 제작자가 서면으로 누설점검의 시기 및 유효기간을 지정한 경우에는 이에 따를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 사용자는 관련 증빙서류를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 의료분야의 방사선안전관리에 관한 기술기준 [시행 2019.. 2020. 6. 11.
선량선량률효과인자 (dose and dose-rate effectiveness factor, DDREF) 선량선량률효과인자 (dose and dose-rate effectiveness factor, DDREF) (70) UNSCEAR는 높은 선량 및 선량률에서 평가된 암 위험을 낮은 선량 및 선량률로 투사할 수 있도록 선량선량률효과인자(DDREF)를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낮은 선량 및 선량률에서 발생하는 암 위험은, 역학, 동물실험 및 세포 데이터를 조합해 판단할 때, DDREF로 제시되는 인자 값만큼 감소할 것으로 판단된다. ICRP는 1990년 권고에서 DDREF값 2를 방사선방호의 일반적 목적에 적용해야 한다고 포괄적 판단을 내린 바 있다. 선량선량률효과인자dose and dose-rate effectiveness factor, DDREF: 높은 선량률, 높은 선량 피폭의 경우와 비교하여 낮은 선량률.. 2020. 2. 27.
ICRP 103 2020. 2. 14.
Carbon Ions PRESENT STATUS AND PERSPECTIVE FOR CARBON IONS Carbon ion therapy is an innovative radiotherapy modality that is mostly dedicated to cancers considered as unresectable and radioresistant to photons. Its radiobiologic properties combine the advantages of the high-dose distribution conformity of protons for deep tumors (superior to photons and neutrons) and the higher biologic effectiveness (compa.. 2020. 1. 17.
04 핵의학 실무 (38~41) 고창순 핵의학 제4판 요약정리 38 방사선 안전관리 실무 및 관련 법령 1. 방사선 방호의 국제적 규제 체계 2. 국내 규제기관과 법령 체계 3. 방사선 방호의 목표와 체계 요소 4. 의료방사선의 안전관리 39 소아핵의학 1. 소아핵의학의 특징 2. 소아의 방사성의약품 용량 3. 소아핵의학 검사의 수행 4. 소아핵의학 영상 해석의 함정 40 검체 검사 정도관리 및 국내외 제도 1. 검체 검사 정도 관리 2. 국내외 정도관리 제도 41 신약개발과 핵의학분자영상 1. 서론 2. 신약개발과 핵의학분자영상 : 개요 3. 핵의학분자영상을 이용한 약동학 평가 4. 핵의학분자영상을 이용한 약력학 평가 2019. 12. 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