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교시. 의학 91

07 방사선 생물학 - 1. 방사선 생물학 5) 개체에 대한 방사선의 효과

1. 방사선 생물학 5) 개체에 대한 방사선의 효과 (1) 전신피폭에 따른 사망 인체의 부분 피폭 또는 불균질 전신피폭 후 개인의 사망확률은 피폭한 특정 기관, 조사된 체적 및 선량 준위에 따라 결정된다. 정상적이고 건강한 성인의 경우 LD50/60, 즉 60일 이내 반치사선량의 중간선은 약 4 Gy이지만, 문헌 평가치들은 3~5 Gy 범위에 있다. 방사선 내성이 큰 적혈구 대체가 없는 출혈이 원인일 수도 있지만 주로 수명이 짧은 기능성 과립구를 생성하는 원종세포 결핍에 기인하는 조혈기능 상실이 사망 원인이다. 선량이 약 5 Gy를 초과하면 심각한 위장(줄기세포 및 내피 모세관세포) 손상과 같은 추가 영향이 발생하여 조혈손상과 결합하여 1~2주에 사망을 초래한다. 이러한 증후군에서 LD50을 정밀하게 평..

07 방사선 생물학 - 1. 방사선 생물학 4) 방사선 피폭의 부정적 보건영향(adverse health effect of radiation e

1. 방사선 생물학 4) 방사선 피폭의 부정적 보건영향(adverse health effect of radiation exposure) 산업 및 의학에서 방사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방사선에 의한 장해를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시각에서 방사선이 인체에 주는 부정적인 보건영향을 크게 두 가지 범주인 결정론적 영향(deterministic effect)과 확률론적 영향(stochastic effect)으로 구분하고 있다. (1) 결정론적 영향(deterministic effect) 결정론적 영향은 방사선 피폭에 따른 특정 장기나 조직 세포들이 사멸하거나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선량문턱(dose threshold)을 넘어서 피폭되면 임상적으로 관찰 가능한 장기나 조직의 손상이 ..

07 방사선 생물학 - 1. 방사선 생물학 3) 세포에 대한 방사선의 효과

1. 방사선 생물학 3) 세포에 대한 방사선의 효과 (1) 방사선생물학적 세포사 방사선 생물학적인 관점에서는 방사선조사에 따른 세포사를 조사된 세포군집에서의 물리적인 생존여부가 아닌 세포의 증식능력 상실로 정의하기도 한다. 이러한 재생능력의 상실은 세포고사(apoptosis), 세포괴사(necrosis), 유사분열재앙(mitotic catastophe) 또는 유도노화(induced senescence)로 발생한다. 이러한 기전들은 결국에는 세포들의 물리적인 사망으로 이어지지만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예를 들어 mitotic catastrophe은 몇 번의 세포분열 이후에 발생할 수 있다. 방사선조사 이후의 세포수의 빠른 감소는 세포고사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며 빠르게 증식하는 세포집단에서는 mitotic..

07 방사선 생물학 - 1. 방사선 생물학 2) DNA와 염색체에 대한 작용

1. 방사선 생물학 2) DNA와 염색체에 대한 작용 방사선에 의하 세포영향에서 염색체 DNA가 주된 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방사선에 의해 발생되는 DNA 손상은 가닥손상(strand break), 염기변화(base change), 당쇄(sugar) 파괴, 가교형성(cross-link) 및 이량체(dimer) 형성 등이 있다. 이 중 가닥손상이 가장 흔하고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DNA 손상과 복구 (2) 적응(adaptive) 반응 방사선 적응 반응은 세포에 방사선을 조사한 후 다시 방사선을 조사할 때, 두 번째 방사선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는 현상으로, 1차 방사선에 의해서 DNA 손상 복구 시스템이 항진되어 2차 방사선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는 기전으로 여겨진다. 적응반응에 대한 ICR..

07 방사선 생물학 - 1. 방사선 생물학 1) 방사선 흡수의 물리와 화학

1. 방사선 생물학 1) 방사선 흡수의 물리와 화학 (1) 전리방사선(ionizing radiation)의 정의와 종류 전리방사선은 전자기방사선과 입자방사선으로 분류되며 전자기방사선 중 저에너지 감마선과 엑스선은 주로 진단에 이용되고 입자방사선들 중 베타선, 알파선, 전자선, 양성자선, 중성자선, 중하전입자선 등은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2) 전자기방사선의 흡수 전자기방사선과 흡수매질의 상호작용 중 하나인 광전흡수는 입사되는 전자기방사선의 모든 에너지를 흡수매질 원자에게 주어 궤도전자를 방출케 하는 것으로, 흡수매질의 원자번호가 커지면 증가하고 입사되는 전자기방사선의 에너지가 커지면 감소한다. 방사선 진단에서는 광전흡수가 주가 되는 에너지 영역의 전자기방사선이 사용되며 연부조직에 비해 원자번호가 큰 칼..

25. 신장요로계 영상 - 1. 신장의 구조와 생리

1. 신장의 구조와 생리 신장에는 혈액이 1분에 약 1,200 mL 흐르며(renal blood flow, RBF), 이는 심장박출양의 약 20~25% 정도이다. 이 중에서 적혈구의 체적을 감한 신장혈장유량(renal plasma flow, RPF)은 분당 약 600 mL이며 이 혈장이 사구체를 통과하여 여과되는 양, 즉 사구체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은 분당 120 mL 정도이다. RPF 중 사구체에서 여과되는 정도는 GFR/RPF, 즉 여과분율(filtration rate, FF)로 표시되며 정상에서는 0.2 정도이다. 신장의 기능은 RPF나 GFR 그리고 세뇨관은 통한 재흡수와 분비의 총체적인 항상성 유지활동이라 할 수 있는데 특정 물질들의 신장 내 조절과정을..

25. 신장요로계 영상 - 5. 요로폐쇄 #이중최고점징후(double-peak sign)

5. 요로폐쇄 1) 요로폐쇄의 병태생리와 원인 많은 임상 상황에서 신장스캔이 필요한 이유는 치료가 필요한 폐쇄성 요로질환을 정확하게 진단하여 신장병증으로의 진행을 막기 위함이다. 신장스캔은 적은 용량의 방사성의약품을 주사하고 짧은 시간에 신장과 요로의 폐쇄를 진단하는데 매우 유용한 검사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유의해야 할 것은 실제 신장스캔을 적용하는 임상 상황에서는 완전요로폐쇄(complete urinary obstruction) 상황은 드물고 대부분 부분요로폐쇄(partial urinary obstruction) 임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많은 경우 신장스캔의 역할이 요구되는 것은 현재의 부분요로폐쇄와 동반된 수신증이 신장병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는가를 판정해야 하는 것이다. 즉 기본적으로 부분요로폐..

25. 신장요로계 영상 - 9. 하부요로 영상

9. 하부요로 영상 1) 방사성동위원소 배뇨방광조영술(Radionuclide Voiding Cystography, RVC) (1) 방광요관역류(Vesicoureteral Reflux) 방광요관역류는 그 자체로는 신장의 손상을 주지 않으나, 세균이 쉽게 신장으로 침범할 수 있으므로 신우신염과 신장반흔의 위험성이 있고, 이로 인하여 고혈압과 신장기능의 저하가 나타나게 된다. 방광요관역류는 대부분 요로감염의 평가 때 발견하게 된다. 약간의 이견이 있지만 모든 영아와 남아의 요로감염, 학교연령의 여아로서의 여러 차례의 요로감염이 있을 경우에는 방광요관역류에 대한 검사를 하는 것이 권장된다. 또한 수신증이나 수요관신증이 있을 때에도 10~40%에서 방광요관역류가 있기 때문에 검사가 필요하다. 심하지 않은 방광요관..

25. 신장요로계 영상 - 8. 신장피질스캔 #99mTc-DMSA

8. 신장피질스캔 신장피질스캔은 99mTc-DMSA를 주사 후 근위부 세뇨관세포에 축적된 99mTc-DMSA을 이용하여 기능성 신장실질을 영상화하는 것이다. 우측 신장은 간에 가려서 전면 영상에서 섭취가 감소되어 보이는 경우가 많고 후면영상 혹은 후사면 영상에서는 그러한 소견이 없어서 피질 결손과 구분된다. 소아에서 위가 팽창되어 있는 경우에는 좌, 우 신장에 미세한 삼쇄음영을 나타내는 경우도 흔하다. 병적인 피질 결손은 2~3개의 서로 다른 방향에서 얻은 영상에서 지속적으로 결손을 보일 때 진단하는 것이 안전하다. 1) 신우신염과 반흔 급성 신우신염이나 반흔은 99mTc-DMSA 신장피질 스캔에서 섭취결손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소아에서 급성신우신염에 의한 기능 감소나 반흔의 임상적 의의가 크기 때문에 ..

25. 신장요로계 영상 - 6. 신장혈관성 고혈압 #ACE 억제 신장스캔 #Captopril scan

6. 신장혈관성 고혈압 1) 신장혈관성 고혈압의 정의 신장동맥질환이라 함은 신장동맥협착, 신장혈관성 고혈압, 허혈신장병증을 모두 포함한다. 신장동맥협착과 신장혈관성 고혈압은 구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신장동맥협착은 정상혈압인 나이 많은 사람에서도 30%까지 흔히 발견되며, 고혈압 환자에게서 신장동맥협착이 발견되더라도 많은 환자에서 고혈압의 원인이 아니다. 신장혈관성 고혈압은 신장동맥협착에 의한 신장 관류의 감소와 레닌안지오텐신계의 활성에 의하여 고혈압이 생기는 것을 말하며, 고혈압 환자의 0.5% 정도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고혈압 환자에서 신장혈관협착을 혈관재형성으로 치료하더라도 항상 고혈압의 치료 효과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 신장혈관성 고혈압의 진단에서 중요한 것은 경피경관혈관성형술 치료 전에 치료효과..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