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3교시. 방사선장해방어 방사선취급기술

제1장 원자력이론 - 3. 방사선 생물학

by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2023. 10. 12.
728x90

262.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DNA는 사다리 모양의 꼬여진 이중 나선 구조이다.
  2. 방사선의 생물학적 효과는 산소가 많아지면 감소한다.
  3. 조사에 의해 생성된 산화활성물질과 반응하여 장해 경감작용을 일으키는 물질은 환원성 SH화합물로서 이런 물질을 화학적 방호제라 한다.
  4. 시료의 동결에 의해서 유리기의 확산을 방해하여 생물학적 효과를 감소시킨다.
  • 산소효과란 방사선의 생물학적 효과가 산소가 많아지면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 산소증배비율(OER : Oxygen Enhancement Ratio)
  • =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어떤 효과를 일으키는 방사선량)/(산소가 있는 상태에서 그 효과를 일으키는 방사선량)
  • 대부분의 포유류 동물 세포의 경우, 감마 또는 X선은 OER = 2.5~3로서 가장 높다.
  • α 또는 중성자와 같이 고LET 방사선에 대해서는 OER은 감소하여 작아진다. (α는 OER이 거의 1에 가깝다) (LET가 증가하면, OER은 감소한다.)

 

263. 방사선 감수성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세포는 일반적으로 분열빈도가 높을수록 방사선 감수성은 크다.
  2. Bergonie-Tribondeau의 법칙이란 증식활동이 많을수록 미분화된 세포일수록 세포의 방사선에 대한 감수성이 높다는 이론이다.
  3. 세포분열주기에 있어서 방사선이 조산되 시기에 따라 방사선 감수성은 관계없다.
  4. M기(세포분열기)가 가장 방사선 감수성이 높고 S기(DNA합성기)가 가장 방사선 감수성이 낮다.

 

267. 다음 중 틀린 설명은?

  1. 세포의 분열 주기는 간기(G1기, S기, G2기)와 분열기(M : Mitosis)로 나뉜다.
  2. S기(Synthesis)는 DNA 합성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3. 아동이 성인보다 방사선에 더욱 민감한 것은 아동의 체중이 적기 때문이다.
  4. 분열기(M)는 방사선에 가장 민감한 시기이다.
  • 아동이 성인보다 방사선에 더욱 민감한 것은 아동의 세포분열이 성인보다 왕성하기 때문이다.

 

268. 방사선 감수성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 Bergonei-Tribondeau's law
  • 1) 세포의 재생능력이 클수록 민감도가 크다.
  • 2) 세포의 분열과정이 길수록 민감도가 크다.
  • 3) 형태적, 기능적 분화의 정도가 낮을수록 민감도가 크다.

 

269.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반치사선량 LD50(30) 이란 4 Gy 정도로서, 그 의미는 "30일 내에 50%가 사망한다"라는 뜻이다.
  2. 아주 작은 흡수에너지에도 큰 생물학적 효과가 초래 가능한 것은 손상 받은 세포물질의 분열로 인해 장해가 크게 확대되어 나가기 때문이다.
  3. 방사선이 세포의 구조 및 기능에 변화를 초래하는 주요 작용은 전리 현상 때문이다.
  4. 방사선 손상은 4단계 즉, 물리적 단계, 물리화학적 단계, 화학적 단계와 생물학적 단계로 나뉘는 데, 이는 모두 2~3초 동안 안에 나타난다.
  • 방사선 손상의 4단계 중 마지막 단계인 생물학적 단계는 수 10분~수 10년 동안에 걸쳐서 (1) 세포의 조기 사망, (2) 세포 분열의 불능 및 지연, (3) 영구적 변화(유전) 등이 나타난다.

 

271. 동일한 선량을 조사하였을 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전신조사가 국부조사에 비해 손상이 크며 이 경우 LD50(30)의 값이 낮아진다.
  2. 선량률이 높은 경우 손상이 적으며 이 경우 LD50(30)의 값이 커진다.
  3. 고온에서 방사선을 조사하면 손상이 크며 이 경우 LD50(30)의 값이 낮아진다.
  4. 저산소 조건에서 조사한 경우가 손상이 적으며 이 경우 LD50(30)의 값이 커진다.

 

273. 개체의 방사선 감수성을 결정짓는 주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1. 건강상태
  2. 성별
  3. 연령
  4. 체중

 

276. 어떤 생물체에 동일한 선량이 조사되었을 때의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짧은 시간에 고선량률 피폭이 저선량률의 장시간 피폭보다 영향이 크다.
  2. 고온에서의 피폭이 저온에서의 피폭보다 영향이 크다.
  3. 산소가 적은 조건에서의 피폭이 고산소 조건에서의 피폭보다 영향이 크다.
  4. 전신피폭이 국소피폭보다 일반적으로 영향이 크다.

 

281. X선과 비교한 고 LET방사선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RBE가 일반적으로 크다.
  2. 산소증감비가 작가.
  3. 대표적인 고 LET방사선에는 α선이 있다.
  4. 간접작용에 의한 기여가 크다.
  • 고 LET방사선의 특징
  • 1) RBE가 일반적으로 크다. (양성자선은 예외적으로 RBE가 1이다.)
  • 2) 산소증감비가 작가.(배양동물세포를 사용한 실험에 의하면 LET가 커짐에 따라 산소증감비가 완만하게 작아지다가 약 60 keV/㎛에서 급속히 작아지고, LET가 약 100 keV/㎛에서 1로 된다.)
  • 3) 직접작용에 의한 기여가 크다. (저 LET방사선에서는 간접작용이 주체를 이룬다.)

 

288. 염색체에 미치는 방사선의 영향 중 절단된 염색체 부분이 상동염색체의 짝이 아닌 다른 염색체에 결합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염색체 수준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염색체 돌연변이(chromosomal mutation)라고 하며 결실(deletion), 역위(inversion), 중복(duplication), 전좌(translocation)이다.
  • 절단된 염색체 부분이 상동염색체가 아닌 다른 염색체에 결합되는 것은 전좌라 한다.
  • 역위는 동일한 상동염색체 내에서 절단된 조각들이 염색체의 위치가 바뀌어 재결합하는 것을 말한다.
  • 결실은 염색체의 일부가 절단되어 소실되는 것이고
  • 중복은 절단된 염색체가 상동염색체의 온전한 짝에 추가로 결합되어 이중으로 유전자를 가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

 

293. 작업자의 피부에 홍반 등의 영향을 발생 시킬 우려가 가장 큰 방사선은?

  1. α입자 → 투과력이 약해서
  2. β입자
  3. γ입자 → 투과력이 강해서
  4. 중성자

 

298. 확률론적 영향의 제한목적으로 제시된 것은?

  • 확률론적 영향의 제한목적으로 도입된 것이 유효선량한도이고,
  • 결정론적 영향의 제한목적으로 도입된 것이 등가선량한도이다.

 

319. 태아 피폭에 관한 다음 서술 중 맞는 것끼리의 조합은?

  1. 착상전기는 수정일로부터 9일까지이며, 그 시기의 피폭에 의해서는 기형 발생위험이 크다.
  2. 기형발생의 문턱선량은 0.1 Gy 이다.
  3. 기관형성기는 수정 후 2~8주의 시기이며, 그 시기의 피폭으로는 방사선장해가 발생되기 어렵다.
  4.  태아기는 수정 후 8주부터 출생까지의 시기이며, 그 시기의 피폭으로는 발육지연의 위험이 높다.

 

321. 방사선 호메시스를 방사선방어의 원칙 및 실무에 고려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실험결과가 연구자마다 다르고 객관성 입증이 되지 않고 있다.
  2. 표본의 크기가 작고 통계적인 검증력의 문제가 있다.
  3. 적절한 통제방법의 부재와 실험결과가 하등동물실험에 한정되어 있다.
  4. 방사선방어에 문제가 되고 있는 암, 유전적 영향의 생물학적 영향에 주목하여 이루어졌다.

 

322. 태생기(수정에서 출생까지의 기간)의 3개의 구간에서 방사선을 조사 받았을 경우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방사선 조사로 인한 사망률이 가장 높은 시기는 착상시기이다.
  2. 기형발생률이 가장 높은 시기는 기관형성기이다.
  3. 백혈병 발생률이 가장 높은 시기는 태아기이다.
  4. 정신 및 신체발달 지체가 발생되는 시기는 기관현성기이다. → 태아기

 

323. 방사선 영향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확률적 영향은 발단선량에 무관하게 선량에 비례하는 위험이 있으며, 다른 원인에 의한 영향과 구분이 불가능하다. 합리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한 낮게 유지함으로서 최소화할 수 있다.
  • 결정적 영향은 방사선 피폭으로 인한 장해의 심각성이 선량에 따라 변한다. 발단치가 존재하는 영향이며, 선량을 발단치 이하로 유지하면 방지가 가능하다.

 

325. 분자수준의 장해가 임상적 장해로 발전하는 과정을 표시한 것이다. 다은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지 않은 것은?

분자수준의 손상 세포수준의 손상 임상적 장해 방사선의 영향
DNA 이중고리 절단 (돌연변이) 생식세포 유전적 장해 (확률적 영향)
체세포
세포치사 생식세포 (불임) (결정적 영향)
체세포 장기/조직 장해
728x90

330. 다음 방사성동위원소들은 체내에 흡수되었을 경우, 뼈에 친화성이 있어 골조직의 파괴, 골종양 등을 발생시켜 인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힌다. 뼈에 친화성이 없는 것은?

  1. 226Ra
  2. 131I → 갑상선
  3. 90Sr
  4. 239Pu

 

332. 방사성옥소의 결정장기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 갑상선

 

333. 다음의 방사성동위원소 중에서 향골성핵종(bone seeker)에 해당하는 것은?

  • 향골성핵종(bone seeker) : 내부피폭시 뼈에 모이기 쉬운 방사성물질
  • 예 : 32P, 45Ca, 239Pu, 226Ra, 90Sr 등
  • 특징 : ① 유효반감기가 짧다.
  • 특징 : ② 뼈의 성장에 관여하는 골단부에 침착된다.
  • 특징 : ③ 골수를 조사하여 조혈기 장해를 일으킨다.

 

334. 다음 중 내부피폭의 영향을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올바른 것끼리 나열한 것은?

  1. 핵종
  2. 화학형
  3. 체내로부터의 배설비율
  4. 섭취경로

 

335. 신장이 결정장기인 핵종은?

  • 238U

 

336. 다음 원소 중 인체에 흡수되었을 때 가장 위험한 핵종은

  • 226Ra은 대표적인 향골성핵종으로서, α선을 방출하므로 체내 섭취시 대단히 위험하다.

 

337. 인체 내에 방사성핵종을 섭취하였을 때 가장 위험한 핵종은 (  )을 방출하는 핵종이다. (  )안에 적당한 말은?

  • α선

 

339. 흡수선량이 같은 체내피폭의 경우 등가선량이 가장 큰 핵종은?

  • 방사선가중치가 가장 큰 핵종은 α방출체이다. 210Po는 α방출체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