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2.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 DNA는 사다리 모양의 꼬여진 이중 나선 구조이다.
- 방사선의 생물학적 효과는 산소가 많아지면
감소한다. - 조사에 의해 생성된 산화활성물질과 반응하여 장해 경감작용을 일으키는 물질은 환원성 SH화합물로서 이런 물질을 화학적 방호제라 한다.
- 시료의 동결에 의해서 유리기의 확산을 방해하여 생물학적 효과를 감소시킨다.
- 산소효과란 방사선의 생물학적 효과가 산소가 많아지면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 산소증배비율(OER : Oxygen Enhancement Ratio)
- =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어떤 효과를 일으키는 방사선량)/(산소가 있는 상태에서 그 효과를 일으키는 방사선량)
- 대부분의 포유류 동물 세포의 경우, 감마 또는 X선은 OER = 2.5~3로서 가장 높다.
- α 또는 중성자와 같이 고LET 방사선에 대해서는 OER은 감소하여 작아진다. (α는 OER이 거의 1에 가깝다) (LET가 증가하면, OER은 감소한다.)
263. 방사선 감수성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세포는 일반적으로 분열빈도가 높을수록 방사선 감수성은 크다.
- Bergonie-Tribondeau의 법칙이란 증식활동이 많을수록 미분화된 세포일수록 세포의 방사선에 대한 감수성이 높다는 이론이다.
- 세포분열주기에 있어서 방사선이 조산되 시기에 따라 방사선 감수성은
관계없다. - M기(세포분열기)가 가장 방사선 감수성이 높고 S기(DNA합성기)가 가장 방사선 감수성이 낮다.
267. 다음 중 틀린 설명은?
- 세포의 분열 주기는 간기(G1기, S기, G2기)와 분열기(M : Mitosis)로 나뉜다.
- S기(Synthesis)는 DNA 합성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 아동이 성인보다 방사선에 더욱 민감한 것은 아동의
체중이 적기 때문이다. - 분열기(M)는 방사선에 가장 민감한 시기이다.
- 아동이 성인보다 방사선에 더욱 민감한 것은 아동의 세포분열이 성인보다 왕성하기 때문이다.
268. 방사선 감수성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 Bergonei-Tribondeau's law
- 1) 세포의 재생능력이 클수록 민감도가 크다.
- 2) 세포의 분열과정이 길수록 민감도가 크다.
- 3) 형태적, 기능적 분화의 정도가 낮을수록 민감도가 크다.
269.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 반치사선량 LD50(30) 이란 4 Gy 정도로서, 그 의미는 "30일 내에 50%가 사망한다"라는 뜻이다.
- 아주 작은 흡수에너지에도 큰 생물학적 효과가 초래 가능한 것은 손상 받은 세포물질의 분열로 인해 장해가 크게 확대되어 나가기 때문이다.
- 방사선이 세포의 구조 및 기능에 변화를 초래하는 주요 작용은 전리 현상 때문이다.
- 방사선 손상은 4단계 즉, 물리적 단계, 물리화학적 단계, 화학적 단계와 생물학적 단계로 나뉘는 데,
이는 모두 2~3초 동안 안에 나타난다.
- 방사선 손상의 4단계 중 마지막 단계인 생물학적 단계는 수 10분~수 10년 동안에 걸쳐서 (1) 세포의 조기 사망, (2) 세포 분열의 불능 및 지연, (3) 영구적 변화(유전) 등이 나타난다.
271. 동일한 선량을 조사하였을 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전신조사가 국부조사에 비해 손상이 크며 이 경우 LD50(30)의 값이 낮아진다.
- 선량률이 높은 경우 손상이
적으며이 경우 LD50(30)의 값이커진다. - 고온에서 방사선을 조사하면 손상이 크며 이 경우 LD50(30)의 값이 낮아진다.
- 저산소 조건에서 조사한 경우가 손상이 적으며 이 경우 LD50(30)의 값이 커진다.
273. 개체의 방사선 감수성을 결정짓는 주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 건강상태
- 성별
- 연령
체중
276. 어떤 생물체에 동일한 선량이 조사되었을 때의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짧은 시간에 고선량률 피폭이 저선량률의 장시간 피폭보다 영향이 크다.
- 고온에서의 피폭이 저온에서의 피폭보다 영향이 크다.
- 산소가 적은 조건에서의 피폭이 고산소 조건에서의 피폭보다 영향이
크다. - 전신피폭이 국소피폭보다 일반적으로 영향이 크다.
281. X선과 비교한 고 LET방사선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 RBE가 일반적으로 크다.
- 산소증감비가 작가.
- 대표적인 고 LET방사선에는 α선이 있다.
간접작용에 의한 기여가 크다.
- 고 LET방사선의 특징
- 1) RBE가 일반적으로 크다. (양성자선은 예외적으로 RBE가 1이다.)
- 2) 산소증감비가 작가.(배양동물세포를 사용한 실험에 의하면 LET가 커짐에 따라 산소증감비가 완만하게 작아지다가 약 60 keV/㎛에서 급속히 작아지고, LET가 약 100 keV/㎛에서 1로 된다.)
- 3) 직접작용에 의한 기여가 크다. (저 LET방사선에서는 간접작용이 주체를 이룬다.)
288. 염색체에 미치는 방사선의 영향 중 절단된 염색체 부분이 상동염색체의 짝이 아닌 다른 염색체에 결합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염색체 수준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염색체 돌연변이(chromosomal mutation)라고 하며 결실(deletion), 역위(inversion), 중복(duplication), 전좌(translocation)이다.
- 절단된 염색체 부분이 상동염색체가 아닌 다른 염색체에 결합되는 것은 전좌라 한다.
- 역위는 동일한 상동염색체 내에서 절단된 조각들이 염색체의 위치가 바뀌어 재결합하는 것을 말한다.
- 결실은 염색체의 일부가 절단되어 소실되는 것이고
- 중복은 절단된 염색체가 상동염색체의 온전한 짝에 추가로 결합되어 이중으로 유전자를 가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
293. 작업자의 피부에 홍반 등의 영향을 발생 시킬 우려가 가장 큰 방사선은?
- α입자 → 투과력이 약해서
- β입자
- γ입자 → 투과력이 강해서
- 중성자
298. 확률론적 영향의 제한목적으로 제시된 것은?
- 확률론적 영향의 제한목적으로 도입된 것이 유효선량한도이고,
- 결정론적 영향의 제한목적으로 도입된 것이 등가선량한도이다.
319. 태아 피폭에 관한 다음 서술 중 맞는 것끼리의 조합은?
착상전기는 수정일로부터 9일까지이며, 그 시기의 피폭에 의해서는기형 발생위험이 크다.- 기형발생의 문턱선량은 0.1 Gy 이다.
- 기관형성기는 수정 후 2~8주의 시기이며, 그 시기의 피폭으로는 방사선장해가 발생되기
어렵다. - 태아기는 수정 후 8주부터 출생까지의 시기이며, 그 시기의 피폭으로는 발육지연의 위험이 높다.
321. 방사선 호메시스를 방사선방어의 원칙 및 실무에 고려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실험결과가 연구자마다 다르고 객관성 입증이 되지 않고 있다.
- 표본의 크기가 작고 통계적인 검증력의 문제가 있다.
- 적절한 통제방법의 부재와 실험결과가 하등동물실험에 한정되어 있다.
- 방사선방어에 문제가 되고 있는 암, 유전적 영향의 생물학적 영향에 주목하여 이루어졌다.
322. 태생기(수정에서 출생까지의 기간)의 3개의 구간에서 방사선을 조사 받았을 경우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 방사선 조사로 인한 사망률이 가장 높은 시기는 착상시기이다.
- 기형발생률이 가장 높은 시기는 기관형성기이다.
- 백혈병 발생률이 가장 높은 시기는 태아기이다.
- 정신 및 신체발달 지체가 발생되는 시기는
기관현성기이다. → 태아기
323. 방사선 영향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확률적 영향은 발단선량에 무관하게 선량에 비례하는 위험이 있으며, 다른 원인에 의한 영향과 구분이 불가능하다. 합리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한 낮게 유지함으로서 최소화할 수 있다.
- 결정적 영향은 방사선 피폭으로 인한 장해의 심각성이 선량에 따라 변한다. 발단치가 존재하는 영향이며, 선량을 발단치 이하로 유지하면 방지가 가능하다.
325. 분자수준의 장해가 임상적 장해로 발전하는 과정을 표시한 것이다. 다은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지 않은 것은?
분자수준의 손상 | 세포수준의 손상 | 임상적 장해 | 방사선의 영향 | |
DNA 이중고리 절단 | (돌연변이) | 생식세포 | 유전적 장해 | (확률적 영향) |
체세포 | 암 | |||
세포치사 | 생식세포 | (불임) | (결정적 영향) | |
체세포 | 장기/조직 장해 |
330. 다음 방사성동위원소들은 체내에 흡수되었을 경우, 뼈에 친화성이 있어 골조직의 파괴, 골종양 등을 발생시켜 인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힌다. 뼈에 친화성이 없는 것은?
- 226Ra
131I→ 갑상선- 90Sr
- 239Pu
332. 방사성옥소의 결정장기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 갑상선
333. 다음의 방사성동위원소 중에서 향골성핵종(bone seeker)에 해당하는 것은?
- 향골성핵종(bone seeker) : 내부피폭시 뼈에 모이기 쉬운 방사성물질
- 예 : 32P, 45Ca, 239Pu, 226Ra, 90Sr 등
- 특징 : ① 유효반감기가 짧다.
- 특징 : ② 뼈의 성장에 관여하는 골단부에 침착된다.
- 특징 : ③ 골수를 조사하여 조혈기 장해를 일으킨다.
334. 다음 중 내부피폭의 영향을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올바른 것끼리 나열한 것은?
- 핵종
- 화학형
- 체내로부터의 배설비율
- 섭취경로
335. 신장이 결정장기인 핵종은?
- 238U
336. 다음 원소 중 인체에 흡수되었을 때 가장 위험한 핵종은
- 226Ra은 대표적인 향골성핵종으로서, α선을 방출하므로 체내 섭취시 대단히 위험하다.
337. 인체 내에 방사성핵종을 섭취하였을 때 가장 위험한 핵종은 ( )을 방출하는 핵종이다. ( )안에 적당한 말은?
- α선
339. 흡수선량이 같은 체내피폭의 경우 등가선량이 가장 큰 핵종은?
- 방사선가중치가 가장 큰 핵종은 α방출체이다. 210Po는 α방출체이다.
'2, 3교시. 방사선장해방어 방사선취급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장 원자력이론 - 4. 주관식 문제 (2) (0) | 2023.10.23 |
---|---|
제1장 원자력이론 - 4. 주관식 문제 (1) (1) | 2023.10.20 |
제1장 원자력이론 - 2. 방사화학 및 방사선화학 (0) | 2023.10.12 |
제1장 원자력이론 - 01 원자핵 물리 (2) (0) | 2023.10.12 |
제1장 원자력이론 - 01 원자핵 물리 (1) (1) | 2023.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