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
신생아간염과 간담도폐쇄에 관련하여 다음의 설명중 맞는 것은?
가. 간담도스캔에서 장에 방사능이 보이면 간담도 폐쇄를 배제할 수 있다.
나. 초음파에 담낭이 보여도 신생아 간염과 간담도폐쇄의 감별은 불가능하다.
다. Phenobarbital 투여후 간담도스캔으로 신생아 간염과 간담도폐쇄의 감별의 예민도는 90%다.
라. 간담도스캔에서 담낭에 방사능이 관찰되어도 간담도폐쇄의 가능성이 있다.
A. 가,나,다 B. 가,다 G 나,라 M 가,나,다,라
정답: A. 가,나,다
풀이:
② 신생아 황달(신생아 간염과 담도폐쇄증의 감별)
신생아에서 발견되는 황달 중 간염(neonatal hepatitis)과 담도폐쇄증(biliary atresia)의 감별은 쉽지 않다. 신생아 간염의 경우 보존적 치료를 하고 담도폐쇄증에서는 간문장문합술(prtoenterostomy, Kasai operation)을 시행하는데 생후 60일 이내 수술하는 것이 성공률을 높이므로 정확한 조기 감별이 매우 중요하다. 담낭이나 장의 방사능이 관찰되면 담도폐쇄증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이때, 기저귀나 피부에 묻은 소변의 방사능을 장의 방사능으로 오인하거나 우측 콩판 신우의 방사능을 담낭의 방사능으로 오인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24시간까지 담낭이나 장내 방사능이 없으면 담도폐쇄증으로 판정하나 심한 간염에서도 장에 방사능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감별이 어렵다. 그러나 담도폐쇄증에서 생후 2~3개월까지는 현저한 간기능장애가 없으므로 방사성의약품의 간섭취가 비교적 우수하여 간내 방사능도 높고 간의 윤곽도 뚜렷하다(그림 26-12). 반면 간염인 경우 간세포 파괴와 기능 저하가 현저하므로 간섭취가 감소되고 간과 배후방사능의 비가 감소되어 간의 윤곽이 불분명해지므로 감별진단에 도움이 된다.
신생아 간염과 담도폐쇄증의 감별 시 진단율을 높이기 위하여 페노바르비탈(phenoparbital)을 사용한다. 매일 페노바르비탈 5 mg/kg을 5일간 계속하여 경구 투여한 후 간담도스캔을 시행하면 특이도를 높일 수 있다. 초기 영상에서 담도계나 장의 방사능이 관찰되지 않으면 6시간, 24시간 지연영상이 필요하다. 페노바르비탈은 간효소를 강력히 활성화시켜서 빌리루빈의 포합반응과 배설을 증가시키므로 방사성의약품의 간섭취와 배설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신생아간염의 경우 장의 방사능 출현 가능성이 높아지고 담도폐쇄증에서는 페노바르비탈의 투여와 관계없이 장의 방사능이 관찰되지 않는다. 간담도스캔에서 담도폐쇄증 진단에 대한 메타분석에서 페노바르비탈로 전처치한 경우의 민감도는 98.8%, 특이도는 72.2%로 전처치하지 않은 경우(67.6%)에 비해 특이도가 높다.
고창순 핵의학 제4판 2-26 p.830
11
99mTc-DISIDA scan에서 신생아 황달 진단시 페노바비탈 사용원리를 기술
페노바르비탈은 간효소를 강력히 활성화시켜서 빌리루빈의 포합반응과 배설을 증가시키므로 방사성의약품의 간섭취와 배설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신생아간염의 경우 장의 방사능 출현 가능성이 높아지고 담도폐쇄증에서는 페노바르비탈의 투여와 관계없이 장의 방사능이 관찰되지 않는다.
13
4시간/24시간의 DISIDA scan, bowel activity 보이지 않음.
(1) 진단:
(2) 어떤 전처치가 필요하며, 진단에 가장 중요한 소견은 무엇인가:
정답:
(1) 진단: biliary atresia
(2) 어떤 전처치가 필요하며, 진단에 가장 중요한 소견은 무엇인가: 페노바르비탈. Delay image에서도 GB나 bowel 안보임.
담낭이나 장의 방사능이 관찰되면 담도폐쇄증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고창순 핵의학 제4판 2-26 p.830
Chapter 26. 소화기계
1. 간담도스캔
6) 임상응용
(4) 황달의 감별진단
② 신생아 황달(신생아 간염과 담도폐쇄증의 감별)

신생아에서 발견되는 황달 중 간염(neonatal hepatitis)과 담도폐쇄증(biliary atresia)의 감별은 쉽지 않다. 신생아 간염의 경우 보존적 치료를 하고 담도폐쇄증에서는 간문장문합술(portoenterostomy, Kasai operation)을 시행하는데 생후 60일 이내 수술하는 것이 성공률이 높으므로 정확한 조기 감별이 매우 중요하다.
담낭이나 장의 방사능이 관찰되면 담도폐쇄증의 가능성은 배제할 수 있다. 이때, 기저귀나 피부에 묻은 소변의 방사능을 장의 방사능으로 오인하거나 우측 콩팥 신우의 방사능을 담낭의 방사능으로 오인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24시간까지 담낭이나 장내 방사능이 없으면 담도폐쇄증으로 판정하나 심한 간염에서도 장에 방사능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감별이 어렵다.
그러나 담도폐쇄증에서 생후 2~3개월까지는 현저한 간기능장애가 없으므로 방사성의약품의 간섭취가 비교적 우수하여 간내 방사능도 높고 간의 윤곽도 뚜렷하다. 반면 간염인 경우 간세포 파괴와 기능 저하가 현저하므로 간섭취가 감소되고 간과 배후방사능의 비가 감소되어 간의 윤곽이 불분명하므로 감별진단에 도움이 된다.
신생아 간염과 담도폐쇄증의 감별 시 진단율을 높이기 위하여 페노바르비탈(phenobarbital)을 사용한다. 매일 페노바르비탈 5 mg/kg을 5일간 계속하여 경구 투여한 후 간담도스캔을 시행하면 특이도를 높일 수 있다. 초기 영상에서 담도계나 장의 방사능이 관찰되지 않으면 6시간, 24시간 지연영상이 필요하다.
페노바르비탈은 간효소를 강력히 활성화시켜서 빌리루빈의 포합반응과 배설을 증가시키므로 방사성의약품의 간섭취와 배설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신생아간염의 경우 장의 방사능 출현 가능성이 높아지고 담도폐쇄증에서는 페노바르비탈의 투여와 관계없이 장의 방사능이 관찰되지 않는다.
간담도스캔에서 담도폐쇄증의 진단에 대한 메타분석에서 페노바르비탈로 전처치한 경우의 민감도는 98.8%, 특이도는 72.2%로 전처치하지 않은 경우(67.6%)에 비해 특이도가 높다.
08
Splenosis, accessory spleen 진단시 사용하는 1) 방사성의약품과 2) 준비 과정을 기술하시오
풀이:
(3) 99mTc 표지 열처리 적혈구
손상된 적혈구들은 비장조직에 우선적으로 격리된다. 표지된 적혈구를 열처리하여 주사하면 비장영상을 얻을 수 있어 이를 비장스캔(spleen scan)으로 따로 명명하기도 한다. 이를 이용하면 비장증 환자, 외상 후 비장의 손상파악 및 비장절제술 후 잔여 비장 조직 확인에 사용될 수 있다.
자가 채혈된 적혈구에 99mTc을 표지하여 15분간 섭씨 49~50도의 온탕으로 열처리한다. 이를 체온온도 이하로 냉각시키고 정맥주사하여 영상을 얻는다. 과도한 혹은 부족한 열처리로 분포상태가 변화할 수 있으며 특히 소아 환자에서는 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영상의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낮은 용량을 투여할 수 있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4) 비장스캔(Spleen imaging)
(생략)
고창순 핵의학 제4판 2-26 p.836~837, 838
2. 간스캔(간비장스캔)
1) 방사성의약품
(1) 방사성교질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사성교질로는 99mTc-황교질(sulfur colloid)과 99mTc-피틴산(phyate)이 있다.
(2) 간수용체 결합 방사성배위자
(3) 99mTc 표지 열처리 적혈구
손상된 적혈구들은 비장조직에 우선적으로 격리된다. 표지된 적혈구를 열처리하여 주사하면 비장영상을 얻을 수 있어 이를 비장스캔(spleen scan)으로 따로 명명하기도 한다. 이를 이용하면 비장증 환자, 외상 후 비장의 손상파악 및 비장절제술 후 잔여 비장 조직 확인에 사용될 수 있다.
자가 채혈된 적혈구에 99mTc을 표지하여 15분간 섭씨 49~50도의 온탕으로 열처리한다. 이를 체온온도 이하로 냉각시키고 정맥주사하여 영상을 얻는다.
10
멕켈게실에서 Tc-99m pertechnetate의 섭취율을 증가시키는 약제를 모두 골라라.
가. Pentagastrin
나. Glucagon
다. Cimetidine
라. Cholecystokinin
정답: 가, 나, 다 제4판에서 펜타가스트린은 사라짐.
풀이:
검사자에 따라서는 시메티딘(cimetidine; 검사 1~2일 전 20 mg/kg/일 경구투여), 또는 글루카곤(glucagon; 테크네슘 주사 직전 50 ㎍/kg을 천천히 2분 이상 정맥주사)으로 전처치하는 경우도 있다. 글루카곤은 과산화테크네슘의 장관 내 이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시메티딘은 위점막에서의 과산화테크네슘 분비를 억제하여 병소/배후방사능 비를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고창순 핵의학 제4판 2-26 p.870
14
멕켈 스캔 (+) 사진
(1) 진단은?
(2) 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약물 3종류와 그 기전
정답:
(1) 진단은? Meckel’s Diverticulum
(2) 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약물 3종류와 그 기전
- 펜타가스트린 : 과산화테크네슘의 섭취를 증가
- 시메티딘 : 위점막에서의 과산화테크네슘 분비를 억제하여 병소/배후방사능비를 증가
- 글루카곤 : 과산화테크네슘의 장관내 이동을 방지
고창순 핵의학 제4판 2-26 p.870
5. 기타 소화기계스캔
2) 위점막스캔(Gastric Mucosa Scan, Scintigraphy for Meckle's diverdiculum)
(1) 원리 및 개요
(2) 방법
반드시 금식이 필요한 것은 아니나, 3~4시간 금식하면 위 모습을 줄여 검사의 예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위장관의 자극을 줄 수 있는 약물이나 시술은 검사 2~3일 전부터 금지하는 것이 좋다.
검사자에 따라서는 시메티딘, 또는 글루카곤으로 전처치하는 경우도 있다. 글루카곤은 과산화테크네슘의 장관 내 이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시메티딘은 위점막에서의 과산화테크네슘 분비를 억제하여 병소/배후방사능 비를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1교시.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 Chapter 25. 신장요로계 영상 (0) | 2025.03.13 |
---|---|
의학 Chapter 29. 핵의학 검체검사 (0) | 2025.03.13 |
의학 Chapter (???). (0) | 2025.03.12 |
의학 Chapter 20. 뇌혈관질환 및 기타 뇌영상법 (0) | 2025.03.12 |
핵의학 Chapter 21. 심근관류영상법과 심혈관 질환 (0)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