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205

04. 핵의학 영상기기 및 다중융합영상 핵의학 영상의 원리와 종류핵의학적 영상 진단은 특정 방사성동위원소나 이러한 방사성동위원소를 각종 생화학적 물질에 표지한 방사성추적자(radiotracer)를 체내에 주입해주고 방사성동위원소에서 방출되는 감마선의 위치 및 양적 정보를 영상화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이러한 핵의학 영상을 위하여 사용되는 감마선 방출 방사성동위원소는 크게 두 종류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 첫째는 불안정한 원자핵이 주로 알파붕괴나 베타붕괴 직후 들뜬 상태의 딸핵종이 붕괴하면서 원자핵으로부터 방출하는 하나의 광자(주로 감마선)를 검출하는 것이고, 또 다른 한 종류는 원자핵에서 방출된 양전자가 주변 자유전자를 만나 소멸되며 두 개의 감마선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방출하는 것이다. 가. 단일광자영상법첫 번째 종류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 2024. 11. 2.
02. 핵의학물리 및 방사선 검출기(브래그 피크(Bragg peak), 반측치(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그림 2-14는 알파입자가 매질 내를 이동할 때 이동 거리에 따른 단위거리당 잃는 에너지를 보여준다. 단위거리당 잃는 에너지는 입자가 매질 내 진입한 이후로 점점 커지는 양상을 보인다. 이렇게 점점 커지다가 어느 정도 깊이에 이르렀을 때 최댓값이 되는데, 이 최댓값이 되는 지점에서 알파입자의 에너지를 가장 많이 잃는다. 즉 알파입자가 매질 내로 들어왔을 때 그 속도가 크면 상대적으로 적은 충돌을 하여 단위거리당 잃는 에너지는 작지만 점차 속도가 줄어들면 단위거리당 잃는 에너지는 커진다. 이것이 매우 급속도로 상승하게 되면 알파입자는 어느 순간 모든 운동에너지를 잃고 멈추게 된다. 이를 브래그 피크(Bragg peak)라고 하는데, 이는 중입자를 이용한 방사선 치료에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알파입자나 양성.. 2024. 11. 2.
01. 핵의학 개론 방사성 핵종을 이용한 치료법 중 혈액질환에 쓰이는 32P와 악성 삼출액 치료에 쓰이는 198Au의 이용은 감소하였으나, 갑상선암과 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에 쓰이는 131I의 이용은 갑상선초음파 검진에 따른 갑삼성암 진단의 급증에 따라 2004년 12,000건에서 2013년 30,000건으로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증상이 없는 일반인의 경우 갑상선암 초음파 검사를 권고하지 않는다'는 갑상선암 검진 권고안에 따라 2016년 12,000건으로 다시 줄었다. 그 외 갈색세포종 및 신경모세포종 치료에 131I-MIBG, 뼈전이 치료에 89Sr, 223Ra, 간암 치료에 방사선색전술, 림프종 치료에 방사면역치료법이 사용되고 있다. 단백질을 방사성동위원소로 표지할 수 있게 된 후 항체에 방사성동위원소를 표지하여 각종 병.. 2024. 11. 2.
ICRP A.2. 세포 및 조직과 방사선의 상호작용 (방사선 유발게놈불안정성과 피폭 후 세포끼리 구경꾼교신) A.2. 세포 및 조직과 방사선의 상호작용  (A5) 이 절의 목적은 인체 내 세포나 조직이 방사선과 일으키는 상호작용에 관한 지식을 1990년 이후 개발된 정보와 개념을 중심으로 요약하는 것이다. 이 부록의 후속 절에서 전개될 판단에 대한 생물학적 골격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생물학적 데이터와 개념 일부는 복잡하지만, 이 부록의 많은 부분은 비전문가 독자를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 부록은 많은 생물학적 또는 생물물리학적 논란에 깊이 들어가기보다는 내리는 판단의 명료성과 단순성을 추구했다. 자세한 논의는 이전 ICRP 간행물이나 기타 검토문서에서 찾을 수 있다.  A.2.1. 세포에 대한 방사선 작용의 생물물리학 측면  (A8) 특히 DNA에서 방사선 유발 손상의 상당한 비율이 화학적 변화가 복잡한.. 2024. 10. 4.
ICRP 103 부록A 주요 결론 및 권고 부록A주요 결론 및 권고  아래 요약문은 주로 방사선방호 목적으로 보건에 영향을 주는 약 100 mSv(단 일 또는 연간 선량)까지 선량 범위의 방사선에 해당된다. 낮은 선량/낮은 선량률에서 암 또는 유전질환 유발에 있어 선량 증분과 위험 증가 사이에 단순 비례관계를 사용하는 것이 과학적으로 타당하다. 그러나 이 판단에 불확실성도 인정된다.ICRP 60(ICRP, 1991b)에 권고된 선량선량률효과인자(DDREF)값 2는 방사선 방호 목적에 계속 사용해야 한다. 낮은 선량에서 암 위험에 대한 문턱치 가능성을 도입하는 효과는 DDREF값의 불확실성 증가 효과와 대등한 것으로 판 단된다.양성자와 중성자에 대해 방사선가중치 변경을 제안한다. 현행 권고 부록B “방사선방호에 사용하는 양”에서 이 판단을 논의한다.. 2024. 10. 4.
ICRP 103 제7장 환자, 위안자와 간병인 및 의생명연구 자원자의 의료피폭 제7장 환자, 위안자와 간병인 및 의생명연구 자원자의 의료피폭  (322) 의료피폭은 주로 진단검사, 중재방사선 절차 및 방사선치료를 받는 개인(환자)이 받는 선량이다. 환자를 간병하고 위안하는 사람도 방사선에 피폭할 수 있다. 이러한 사람에는 진단절차 중 아동을 붙들거나 핵의약품 처치 후 또는 근접치료 중 환자에게 접근할 수 있는 부모, 가족이나 가까운 친지가 포함된다. 퇴원한 환자에 의해 일반인도 피폭하지만, 그 피폭 정도는 대부분 경우 매우 낮다. 의생명연구 자원자도 환자에게 사용하는 절차와 유사한 방사선피폭이 있는 의료절차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환자 의료피폭이란 이러한 모든 유형의 피폭을 의미한다. 이 장에서는 다루는 내용은 다음을 포괄한다. 진단, 중재방사선 및 치료 목적을 위한 개인의 피폭.. 2024. 10. 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