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사선 호메시스(hormesis) : 저선량의 방사선은 해롭지 않고 세포나 분자에 대해 활성증진 및 면역증강을 유발시켜 인체에 이롭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ICRP에서는 이를 채택하고 있지 않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실험결과가 연구자마다 다르고, 객관적인 입증이 안되고 있다.
- 표본의 크기가 작고, 통계적인 검증력에 문제가 있다.
- 절절한 통제방법의 부재와 실험결과가 하등동물 실험에 한정되어 있다.
- 방사선방호에 문제가 되고 잇는 암, 유전적 영향 이외의 생물학적 현상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인체에 대한 입증자료가 거의 없다.
- 방사선 외의 다른 외부요인이 내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선량-선량률 효과계수(Dose anc Dose Rate Effective Factor, DDREF) : 방사선방호 목적의 선량은 수 mGy ~ 수십 mGy인 반면에 역학데이타에서 얻어진 선량은 수백 mGy 이상이기 때문에 저선량/저선량률에서의 암 사망 발생확률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선량/고선량률에서 행해지는 많은 생물 실험에서는 선량반응관계는 세포사망이 문제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는 일반적으로 직선 2차 곡선모델이 적합하다. 그러나 저선량/저선량률에서의 선량-반응관계는 직접 얻는 것이 곤란하며 소선량/고선량률의 선량-반응관계를 이용하여 추정할 수밖에 없다. 고선량/고선량률의 선량-반응관계로부터 저선량/저선량률에서의 선량-반응관계를 외삽할 때 추정치의 보정을 위한 계수를 선량-선량률 효과계수(DDREF)라 정의하였다.
https://licenseforradioisotope.tistory.com/977
방사선방호 관점에서 선량-선량률 효과계수(DDREF)를 도입하게 된 배경
방사선방호 관점에서 선량-선량률 효과계수(DDREF)를 도입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그 의미를 설명하시오. 방사선방호에서 문제가 되는 선량은 수 mGy에서 수십 mGy이고 피폭하는 기간도 매우 장
licenseforradioisotope.tistory.com

ALI와 DAC : 연간섭취한도(ALI)란 방사성물질의 체내 섭취로 인하여 년간 선량한도를 초과하여 피폭되지 않도록 년간 섭취가 허용되는 최대량을 말한다. 또 유도공기중농도(DAC)란 ALI를 실무에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유도된 양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공기 중 방사능 농도가 1 DAC인 환경에서 연속 체류하면 연간 섭취량이 ALI에 이르며 이로 인한 피폭선량은 기본한도량이 된다.
https://licenseforradioisotope.tistory.com/971
연간섭취한도(ALI)와 유도공기중농도(DAC)
연간섭취한도(ALI)와 유도공기중농도(DAC)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연간섭취한도(ALI)란 방사성 물질의 체내 섭취로 인하여 연간 섭취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권고된 섭취 허용 최대량이다. 연간섭
licenseforradioisotop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