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Chapter 10. 핵의학 진단 개론
2-10
11003. FDG-PET 틀린것 고르시오
① 암세포에서 GLUT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다
② 열쇼크, 감염, 허혈시 순간적 이동에 의해 GLUT의 발현이 증가
③ 암세포에서 포도당 분해효소가 증가되어 있고, hexokinase 증가
④ 포도당-6-인산화효소가 증가되어 있다
풀이:
고창순 핵의학 제4판 2-10 p.303~
10
FDG PET/CT에서 흔히 관찰되는 소견이다. 무엇인가?
가. 날씨가 따뜻한 여름에는 잘 안보이나, 겨울에 잘 보이는 섭취?
나. Vocal cord에 흔히 보이는 섭취를 방지하기 위해 환자에게 알려야 하는 사항?
다. 당뇨환자에서 장 섭취를 증가시키는 약제?
Brown fat에 대한 내용은 교과서에는 없는 듯?
가 brown fat
나 주사후 말하지말고 조용히 있을것
다 metformin
11
SUV가 높게 측정될 수 있는 경우로 잘못된 것은?
1) F-18 대신 C-11을 사용한 경우
2) 원래보다 늦게 주사한 것으로 오인한 경우
3) 체중이 원래보다 적게 기록된 경우
4) 혈관 외 유출
풀이:
1) F-18 대신 C-11을 사용한 경우 -> decay correction을 더 적게해서 SUV가 낮아진대
2) 원래보다 늦게 주사한 것으로 오인한 경우 -> decay correction을 더 적게해서 SUV가 낮아진대
3) 체중이 원래보다 적게 기록된 경우 -> 높게 측정
4) 혈관 외 유출 -> 낮게 측정
주사한 FDG가 혈액 내로 모두 들어가지 않고 일부 혈관 바깥으로 누출되면 SUV가 낮게 나타난다.
고창순 핵의학 제4판 2-10 p.306
13
F-18 FDG PET/CT 촬영 전 혈당 Check 했더니 285 mg/dl. 바른 것은?
가. 인슐린 주고 혈당 정상일 때 imaging
나. 경구 혈당 강하제 주고 혈당 정상일 때 imaging
다. 운동을 통해 혈당을 떨어뜨리고 혈당 정상일 때 imaging
라. 기다렸다가 혈당 안 떨어지면 검사 취소 후 연기
정답: 라. 기다렸다가 혈당 안 떨어지면 검사 취소 후 연기
풀이:
따라서, 대부분의 PET 센터에서 [18F]FDG 정맥주사 전 측정한 혈당이 150~200 mg/dL 이상이면 다른 날 촬영하는 것을 검토한다.
고창순 핵의학 제4판 2-10 p.305
15
F-18 FDG PET/CT 영상을 시행할 때 준비사항 3가지
정답:
② 촬영방법
종양 및 뇌 영상의 경우 [18F]FDG 정맥주사 전 4~6시간, 심근대사 영상의 경우 6~12시간 공복이어야 한다. 혈당이 높은 경우 정맥주사한 [18F]FDG와 경쟁작용이 증가하고, 혈중 인슐린 상승으로 인한 근육 내 [18F]FDG 섭취 증가와 이로 인한 관심영역의 [18F]FDG 섭취감소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PET 센터에서 [18F]FDG 정맥주사 전 측정한 혈당이 150~200 mg/dL 이상이면 다른 날 촬영하는 것을 검토한다.
약 370 MBq (10 mCi)의 [18F]FDG를 정맥주사하고 45~60분 뒤 스캔을 얻으며, 촬영을 기다리는 동안 육체적인 운동을 하면 관련 근육에서 [18F]FDG 섭취가 증가하므로 안정을 취하게 한다. 특히 말을 많이 하는 경우 성대근육에 [18F]FDG 섭취가 증가한다. 육체적 운동은 FDG 주사 전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검사 전날에도 안정을 취하게 한다. 소변으로 FDG의 배설을 돕기 위하여 500 ml의 물을 마시게 한 후 촬영에 들어간다. 환자가 긴장하면 목 근육에 FDG 섭취가 증가하여 림프절 섭취와 구별이 힘든 경우가 있어 디아제팜(diazepam) 5~10 mg을 경구 투여하기도 한다. 우리나라 사람의 경우 장운동이 활발하여 대소장의 FDG 섭취가 증가하여 판독에 어려움이 있기도 한다. 이런 경우 메베베린(mebeverine) 135 mg을 경구투여 후 촬영한다.
고창순 핵의학 제4판 2-10 p.305
Chapter 10. 핵의학 진단 개론
1. 핵의학 영상법 개론
1)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PET)
(1) 개요
(2) 18F-FDG PET
① 기본원리
가. 종양
암세포에서는 세포의 성장과 분열에 관여하는 여러 생화학적 대사가 항진되어 있다.
핵산 대사, 아미노산 대사가 증가되어 있으며 산소성, 혐기성 포도당분해 대사가 정상세포보다 항진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져 있어 18F-FDG PET을 암환자에서 유용하게 이용하고 있다. 암세포에서 포도당 섭취에 관여하는 인자들은 다음과 같다.
(가) 포도당 운반체(Glucose Tranporter, GLUT)
여러 동종유형 중 GLUT-1이 암세포에서 증가하여 있다.
감염, 열 쇼크, 허혈이 생기면 순간적인 이동에 의하여 GLUT의 발현이 증가한다.
(나) 포도당 분해효소(Glycolytic Enzymes)
암세포는 정상세포보다 포도당 분해효소들이 증가되어 있고, 특히 헥소키나제(hexokinase)의 농도가 증가된다. 포도당-6-인산분해효소(glucose-6-phosphatase)의 농도는 감소되어 있다.
② 촬영방법
종양 및 뇌 영상의 경우 18F-FDG 정맥주사 전 4~6시간, 심근대사 영상의 경우 6~12시간 공복이어야 한다. 혈당이 높은 경우 정맥주사한 18F-FDG와 경쟁 작용이 증가하고, 혈중 인슐린 상승으로 인한 근육 내 18F-FDG 섭취 증가와 이로 인한 관심영역의 18F-FDG 섭취감소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PET 센터에서 18F-FDG 정맥주사 전 측정한 혈당이 150~200 mg/dL 이상이면 다른 날 촬영하는 것을 검토한다.
약 370 MBq (10 mCi)의 18F-FDG를 정맥주사하고 45~60분 뒤 스캔을 얻으며, 촬영을 기다리는 동안 육체적인 운동을 하면 관련 근육에서 18F-FDG 섭취가 증가하므로 안정을 취하게 한다. 특히 말을 많이 하는 경우 성대근육에 18F-FDG 섭취가 증가한다. 육체적 운동은 FDG 주사 전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검사 전날에도 안정을 취하게 한다. 소변으로 FDG의 배설을 돕기 위하여 500 ml의 물을 마시게 한 후 촬영에 들어간다. 경우에 따라 이뇨제를 촬영 전에 주사하기도 한다. 환자가 긴장하면 목 근육에 FDG 섭취가 증가하여 림프절 섭취와 구별이 힘든 경우가 있어 디아제팜(diazepam) 5~10 mg을 경구 투여하기도 한다. 우리나라 사람의 경우 장운동이 활발하여 대소장의 FDG 섭취가 증가하여 판독에 어려움이 있기도 한다. 이런 경우 메베베린(mebeverine) 135 mg을 경구투여 후 촬영한다.
③ 정량분석
PET의 영상은 육안에 의하여 정성적으로 분석할 뿐만 아니라 종양 내의 방사성 핵종 직접 정도를 측정하여 정량 분석할 수 있다.
실제 임상에서는 반정량적인 방법인 SUV(standardized uptake value)로 종양 내 방사성의약품 집적 정도를 평가한다.

SUV 수치는 임상에서 육안적인 평가와 함께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SUV 1은 주사한 FDG가 전신에 고루 퍼진 상태의 숫자이다. 대부분의 악성 종양의 경우 2.5~3 이상으로 SUV가 증가되어 있다. 즉, 고루 퍼진 농도보다 2.5~3배 암병소에 FDG가 높게 집적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여러 인자가 SUV 수치에 영향을 미친다. 환자의 체형이 중요하다. 특히 지방세포는 다른 세포보다 FDG의 섭취가 현저하게 낮기 때문에 비만이 있는 경우 종양의 SUV가 실제보다 높게 나온다. 지방을 제외한 lean body mass로 SUV를 교정하는 방법도 있다. 주사되는 FDG의 개수는 10^13~10^14 정도이다. 운동에 의하여 전신 근육에 섭취가 증가하면 병소로 모일 수 있는 FDG 숫자가 적게 된다. 암조직이 정상조직과 중복되어 나타나는 부분체적 효과가 있어 2 cm 이하의 종양에서는 평균 SUV가 아닌 최대 SUV가 많이 쓰이고 있다. 부분체적 효과는 작고 주변부가 불규칙적으로 생긴 종양에서 더 영향이 크다. 혈중 포도당 농도도 중요한 인자이다. 금식이 충분하지 않거나 당뇨병이 있는 경우 종양내 FDG 섭취가 감소한다. 정상보다 2배 혈당이 높으면 종양 내 SUV가 40% 정도 낮아진다. PET 촬영 전에 혈당을 측정하고 높은 경우 인슐린 주사로 정상화 할 수 있다.
촬영기기에 따라서도 SUV가 변한다. 방사성 핵종으로 투과영상을 얻어 보정한 경우 CT로 보정한 경우보다 일반적으로 SUV가 낮게 나타난다. 기술적인 문제가 있어도 SUV가 변화한다. 주사한 FDG가 혈액 내로 모두 들어가지 않고 일부 혈관 바깥으로 누출되면 SUV가 낮게 나타난다. FDG 주사와 촬영 간의 시간 간격도 중요하다. 암세포의 FDG 섭취는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5시간쯤 되어야 평형상태에 도달한다. 따라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촬영하는 것이 비교연구에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