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Chapter 방사선종양학과.
09
방사선 조사 시에 세포의 사멸 종류를 2가지만 써라.
정답: 괴사(necrosis)와 고사(apoptosis)
풀이:
3) 세포에 대한 방사선의 효과
(1) 방사선 생물학적 세포사
방사선 생물학적인 관점에서는 방사선조사에 따른 세포사를 조사된 세포군집에서의 물리적인 생존여부가 아닌 세포의 증식능력 상실로 정의하기도 한다. 이러한 재생능력의 상실ㄹ은 세포고사(apoptosis), 세포괴사(necrosis), 유사분열재앙(mitotic catastrophe) 또는 유도노화(induced senescence)로 발생한다. 이러한 기전들은 결국에는 세포들의 물리적인 사망으로 이어지지만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예를 들어 mitotic catastrophe은 몇 번의 세포분열 이후에 발생할 수 있다.
고창순 핵의학 제4판 1-7 p.205
09
방사선 피폭 시 tolerance dose가 가장 낮은 것부터 차례대로 나열하시오.
(1) 수정체 - 백내장
(2) 후두 - 연골 괴사
(3) 척수 – 척수방사선 장해
(4) 뇌하수체 - 성장호르몬 결핍
정답:
(1) 수정체 - 백내장 1000 cGy
(4) 뇌하수체 - 성장호르몬 결핍 4500 cGy
(3) 척수 – 척수방사선 장해 4700 cGy
(2) 후두 - 연골 괴사 7000 cGy
풀이:
organ | TD 5/5 (cGy) |
lens | 1000 |
Larynx (necrosis) | 7000 |
Spinal cord | 4700 |
Pituitary gland (for panhypopituitarism, lower for GH deficiency) | 4500 |
https://en.wikibooks.org/wiki/Radiation_Oncology/Toxicity/Emami
11
다음 중 옳게 연결된 것은?
1) cisplatin - cell signal 전달의 변화
2) misonidazole - DNA repair 감소
3) paclitaxel - synchronize the cell phases
4) fluorothymidine - growth factor expression
병기 IIB 이상의 국소진행된 자궁경부암의 치료에는 방사선치료가 주된 치료방법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방사선치료 단독보다는 항암화학요법을 병행하여 국소제어율을 높일 수 있다는 보고가 발표되어왔다. 자궁경부암 치료의 실패는 대부분 치료종결 후 3년 이내에 일어나며 국소재발 시에는 주로 자궁방결합조직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소종양제어율을 높이기 위해 방사선민감제로서 misonidazole, hydroxyurea, cisplatin, 5-FU 등의 병용 외에 고압산소요법, 온열요법, 입자선치료 등이 연구되어왔고, 여러 약제 중 특히 cisplatin과 5-FU는 방사선 효과를 증진시키는 동시에 직접적인 세포 독성효과로 인해 방사선치료와 동시 투여시 국소제어율을 높여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주목을 받고 있다.
Misonidazole은 DNA 복구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약물로, 방사선 치료와 병용하여 사용되기도 합니다.
Paclitaxel (Taxol) can synchronize cell phases, especially in malignant cell lines.
15
외부 자동선원 이동의 장점 3가지
정답:
15
4R에 대해 쓰고, 각각 종양세포 손상을 증가시키는지, 정상조직의 손상을 감소시키는지 쓰기
정답:
(1) Repair : 손상 수선회복 - 정상조직의 손상을 감소
(2) Reoxygenation : 저산소 상태의 세포가 반복 치료과정 중 산소공급이 재개되어 수선되지 않은 손상으로 사망 - 종양세포 손상을 증가
(3) Repopulation: 방사선 분할조사 후 조직 내 세포가 증식속도의 차이에 의하여 재편성 - 정상조직의 손상을 감소
(4) Redistribution : 방사선조사 후 세포기의 지연이 특정주기에 일어나 동기화함. 반복치료 시 효과 향상 - 종양세포 손상을 증가
16
고선량 근접치료 동위원소 : Co-60, Cs-137, Ir-192, Ra-226
가. 가장 반감기가 긴 것부터 순서대로 써라
나. 가장 많이 사용 되고 있는 동위원소는?
정답:
가. 가장 반감기가 긴 것부터 순서대로 써라
Cs-137, Co-60, Ir-192, Ra-226
137Cs = 30 y
60Co = 5.3 y
192Ir = 74.3 ds
223Ra = 11.4 d (226Ra = 1600 y)
나. 가장 많이 사용 되고 있는 동위원소는?
17
Radiation-induced cancer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A. 갑상선암은 소아가 성인에 비해 더 민감하다.
B. 백혈병 중 CLL (chronic lymphocytic leukemia)이 가장 흔하다.
G. 원폭피해자에서 가장 먼저 발생한 것은 유방암이다.
M. 우라늄광산 광부들에서 골암 (bone cancer)이 가장 많이 발생한다.
정답: A. 갑상선암은 소아가 성인에 비해 더 민감하다.
풀이:
A. 갑상선암은 소아가 성인에 비해 더 민감하다.
-> 특히 성장하고 있는 소아에서는 세포들이 활발하게 분열을 하고 있기 때문에 방사선에 더 민감하다. 또한 남은 생애가 길어 잠복기를 거쳐 암 발생이 나타날 가능성이 더 높고, 추후 성장과정 및 성인이 된 이후 외상, 건강검진, 질병으로 여러 차례 방사선에 더 피폭될 가능성이 높아 특히 유의해야 한다. 환자가 어릴수록 방사선에의한 위험이 크며 여자아이들이 남자아이들보다 2배 정도 방사선에 민감하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어린이는 성인보다 체격이 작아 성인과 같은 촬영조건으로 검사를 시행할 경우 장기선량(organ dose)이 더 높고 피폭에 의한 위험이 어른보다 높기 때문이다[7].
https://synapse.koreamed.org/Synapse/Data/PDFData/0119JKMA/jkma-54-1277.pdf
B. 백혈병 중 CLL (chronic lymphocytic leukemia)이 가장 흔하다.
-> 백혈병 중 CLL은 방사선 피폭으로 인한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G. 원폭피해자에서 가장 먼저 발생한 것은 유방암이다.
-> 원폭피해자에서 가장 먼저 발생한 것은 백혈병이다?
M. 우라늄광산 광부들에서 골암 (bone cancer)이 가장 많이 발생한다.
-> 우라늄광산 광부에 흔한 것은 라돈 흡입에 의한 폐암이다.
19
탄소이온방사선치료(중입자치료)의 특성
19
4R's rule을 기술하시오.
19
BED 계산?
19
Surviving fraction 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