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교시. 의학

의학 Chapter 19. 퇴행성 뇌질환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2025. 3. 16. 09:05
728x90
08
Alzheimer's disease 에 사용하는 PET용 방사성 의약품을 1)2가지 열거하고 2)특징적 소견을 기술하시오

1) [F-18]Florbetapir (Amyvid), [F-18]Florbetaben (Neuraceq), [F-18]Flutemetamol (Vizamyl)
2) 백질과 같거다 더 높은 회백질의 섭취

 
제4판에서는 퇴행성 뇌질환이 별도의 파트로 분리되었음.
풀이: 

1. 알츠하이머병 및 기타 퇴행성 치매

2) 치매의 뇌혈류 및 포도당대사 영상

(1) 알츠하이머병과 경도인지장애에서 FDG PET 영상
18F-FDT PET에서 보이는 양쪽 측두두정엽피질의 대칭적인 대사감소는 알츠하이머병 진단에 예민도 86~94%, 특이도 63~73%, 정확도 83%의 진단능을 가진다.

3) 치매의 단백질병리 영상

(1) 아밀로이드 병리 영상용 방사성의약품
11C-PIB는 현재 조직병리에 의한 확진을 제외하고는 아밀로이드 병리를 확인하는 데 골드 스탠다드로 사용되고 있는 아밀로이드 영상용 방사성의약품이다.
11C-PIB의 국소적 분포는 전두엽과 측두-두정엽에서 가장 두드러진다. 반면에 소뇌에서의 섭취는 거의 없으며, 이는 사후 뇌조직 병리에서 관찰되는 아밀로이드반의 분포와 일치한다.
 
고창순 핵의학 제4판 2-19


의학 Chapter 19. 퇴행성 뇌질환

1. 알츠하이머병 및 기타 퇴행성 치매

1) 치매 환자의 뇌의 구조적 평가 : 구조적 뇌자기공명영상(MRI)

2) 치매의 뇌혈류 및 포도당대사 영상

퇴행성 뇌질환에서는 신경세포의 점진적인 소실이 나타나며, 이는 MRI나 CT에서 관찰되는 구조적 변화가 생기기 전에 뇌혈류 또는 뇌대사를 평가하는 기능적 뇌영상에 의하여 평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매 원인질환의 많은 수에서는 조직병리학적 변화가 주로 일어나는 부위에 일치하여 비교적 특징적인 대사/혈류 변화가 일어나며, 이러한 대사/혈류 변화를 뇌혈류 SPECT 또는 18F-FDG PET를 이용하여 영상화함으로써 치매 원인질환의 진단에 결정적인, 또는 보조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여러 형의 치매에서 각각 비교적 특징적인 뇌대사/혈류 분포양상을 관찰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알츠하이머병 치매와 다른 원인의 치매를 감별할 수 있다.

(1) 알츠하이머병과 경도인지장애에서 FDG PET 영상

 
 알츠하이머병에서는 특징적으로 신피질연합부위의 대사/혈류저하가 나타난다. 알츠하이머병에서 가장 흔히 관찰되는 특징적인 뇌대사/혈류 패턴은 후대상회(posterior cingulate), 쐐기앞소엽(precuneus)과 양쪽 측두두정엽피질의 대칭적인 대사/혈류 감소이며, 질병이 진행될수록 대사 감소의 정도와 범위도 증가되어 진행된 예에서는 전두엽피질의 대사/혈류저하가 더불어 나타난다.

(좌) 후대상회(posterior cingulate), (우) 쐐기앞소엽(precuneus)

일반적으로 치매 환자에서 양쪽 측두두정엽피질 결손이 관찰될 경우 알츠하이머병의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반면 일측성 측두두정엽 관류 결손이 관찰되거나, 전두엽 결손만이 나타날 경우에는 알츠하이머병을 예견할 수 없다.
사후 뇌부검에서 확인된 경우와 비교하여, 18F-FDT PET에서 보이는 양쪽 측두두정엽피질의 대칭적인 대사감소는 알츠하이머병 진단에 예민도 86~94%, 특이도 63~73%, 정확도 83%의 진단능을 가진다.
반면, 내측측두엽의 대사감소는 거의 대부분의 알츠하이머병에서 관찰되며, 내측측두엽의 위축소견과 더불어 전두측두엽치매나 루이소소체치매에 비하여 뚜렷하게 보인다.
알츠하이머병에서 이러한 뇌대사/혈류 이상소견은 뚜렷한 임상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발견될 수 있으므로 뇌대사/혈류 영상을 이용하여 알츠하이머병의 조기진단을 꾀할 수 있다.
환자의 연령이 낮거나 교육수준이 높은 경우 알츠하이머병의 병리적 변화와 이에 따른 국소적 뇌기능의 장애에도 불구하고 아직 침범되지 않은 뇌영역에서의 보상작용을 통한 인지예비능이 작용하여, 치매의 임상증상이 늦게 발현되거나 인지장애 정도가 덜 나타난다. 따라서 치매 환자의 18F-FDG PET을 평가할 때는 치매의 정도뿐만 아니라 환자의 발병연령, 교육수준 및 생활패턴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2) 알츠하이머병 이외의 치매에서 FDG PET 영상

3) 치매의 단백질병리 영상

알츠하이머병에서 베타-아밀로이드와 신경섬유성 변성된 타우단백질의 침착이 알츠하이머병의 발병의 원인병리인지는 아직까지 의문이 있지만, 치매를 일으키는 다른 원인의 뇌질환들과 비교하여 알츠하이머병으로 진단할 수 있는 특징적이고 표준적인 뇌병리이다.
 
(1) 아밀로이드 병리 영상용 방사성의약품
인체에서의 첫 아밀로이드 영상은 18F-FDDNP를 이용하여 얻었는다, 최근에는 타우영상을 위한 방사성의약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11C-PIB는 뇌-혈류 장벽을 통과하여 아밀로이드반에 높은 친화도와 특이성을 가지고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18F-FDDNP와 달리 신경섬유매듭과의 결합은 매우 낮다. 11C-PIB는 현재 조직병리에 의한 확진을 제외하고는 아밀로이드 병리를 확인하는 데 골드 스탠다드로 사용되고 있는 아밀로이드 영상용 방사성의약품이다.
11C-PIB의 국소적 분포는 전두엽측두-두정엽에서 가장 두드러진다. 반면에 소뇌에서의 섭취는 거의 없으며, 이는 사후 뇌조직 병리에서 관찰되는 아밀로이드반의 분포와 일치한다.
11C-PIB의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11C의 짧은 반감기(20분)으로 인한 사용의 제약으로 18F로 표지된 다양한 방사성 리간드가 계속 개발되고 있다. 18F-Florbetapir(Amyvid™), 18F-Florbetaben(NeuraCeq™), 18F-Flutemetamol(Vizamyl™), 18F-Florapronol(Alzavue®)
 
(2) 타우 병리 영상용 방사성의약품
(3) 치매 환자에서 아밀로이드 및 타우 PET

4) 치매 환자 관리에서 싱경핵의학 영상의 역할과 전망

728x90